문화 전시·공연

설도윤 뮤지컬협회 이사장 “인터파크, 룰을 지키시오”

최진숙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14 17:23

수정 2014.10.25 05:55

설도윤 뮤지컬협회 이사장 “인터파크, 룰을 지키시오”

"인터파크, 룰(규칙)을 지키시오."

한국뮤지컬협회 설도윤 이사장(사진)이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직격탄을 날렸다. 지난 연말 시작한 설앤컴퍼니(대표 설도윤)의 '위키드'(샤롯데씨어터)가 오는 10월 5일 종연시점엔 36만명 관람객을 동원, 단일 공연 사상 최다 관람객 기록을 갖게 될 것이라는 자체 집계 성적을 들려주는 자리에서였다. 그는 작심한 듯 '골리앗 인터파크 경계론'을 폈다. 인터파크의 공연·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전담하는 인터파크INT(대표 김양선)는 공연 예매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며 예매 수수료로 수익을 올려왔다. 점유율은 전체 공연 예매 시장의 80%에 육박한다.

■설도윤-인터파크 힘겨루기?

설 이사장은 "인터파크가 돈없는 기획사가 주는 수수료로 현금을 챙기면서 시장에 상술적으로만 접근하고 있다"며 "2년 전부터 업계가 줄기차게 요구해온 공연예술통합전산망도 인터파크의 방해로 지지부진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인터파크 공연 판매 랭킹 순위도 인터파크에 독점으로 티켓을 주지 않는 기획사의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체 티켓의 40% 물량만 인터파크를 통해 판매되는 '위키드' 순위도 매번 하위권이다. 하지만 이런 정보가 소비자에게 제대로 전달이 안된다. 공연계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공연통합전산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터파크INT는 "말도 안된다"며 펄쩍 뛰고 있다. 인터파크 측은 "정부의 공연통합전산망 사업이 인터파크가 방해한다고 되고, 안되고 하는 게 아니다. 공연별 데이터 수집은 기획사 권한이라 업계 전반의 동의와 지원책이 병행돼야 하는 문제"라고 맞섰다. 랭킹 순위 발표에 대해서도 "대다수 공연, 영화 예매사이트들이 자사 판매 상품 예매순위를 공표한다. 각사 사이트 고객의 편의를 돕는 정보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인터파크 측은 서울시로부터 사업권을 따내 운영 중인 뮤지컬 전용극장 블루스퀘어가 그간 흥행작들이 많아 떼돈을 번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적자 상태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건립 당시 600억원을 조달해 투자했지만 연간 금융비용도 만만찮고 개관 후 주변 공시지가가 크게 올라 서울시에 토지사용료로 납부하는 금액만 매년 10억원 이상 된다는 것이다.

■'공룡 인터파크' 독주 우려감도

사건 내막엔 설앤컴퍼니와 인터파크INT의 복잡한 역학 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설앤컴퍼니와 관련이 있는 티켓 예매처 클립서비스가 인터파크 독주로 피해가 컸고, 동국대 부지 공연장 사업과 관련해 양사가 경쟁 구도에 있다는 점 등에서 그렇다. 하지만 현재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는 현금이 탄탄한 인터파크의 독주와 시장 지배력에 우려와 불안감을 드러내는 이들이 상당수인 것으로 감지된다.

한 공연기획사 대표는 "인터파크는 제작비 없는 기획사에 선급금으로 돈을 빌려준 뒤 흥행 실패로 제작비를 돌려받지 못할 경우 추후 작품의 판매권은 독점하는 식으로 시장을 관리한다"며 "인터파크 관행에 적극 대항할만한 힘있는 제작사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티켓 유통에 우위를 점하면서 투자와 제작까지 나서고 있으니 중소업체들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시장이 자칫 휘둘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인터파크에 판매권을 주면 그래도 다른 곳보다 판매가 잘된다. 그러니 인터파크로 몰린다. 인터파크와 시장은 공생관계"라고도 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 시범운영을 이달 말 시작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의전당,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LG아트센터, 샤롯데씨어터 등 국·공립, 민간 공연장 35곳을 대상으로 시스템을 시범 가동한다.
하지만 이들 극장의 공연 매출을 점유율로 환산하면 전체 시장의 10∼20% 수준에 불과하다. 인터파크, 예스24 등 예매처와 민간 극장들이 대거 참여해야 시스템에 신뢰가 형성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정보 공개를 어디까지 해야 할지 여부를 두고 계속 협의 중"이라며 "향후 5년 내 어느 정도 시스템이 완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jins@fnnews.com 최진숙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