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스마트폰 정보격차 어쩌나/권해주기자

권해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3.29 18:17

수정 2010.03.29 18:17

얼마전 휴대폰 번호를 최근 바꿨다. '신천지' 같다는 스마트폰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서다. 이후 무엇보다 버스정류장에서 찬바람 맞을 필요가 없어졌다. 버스번호만 입력해도 내가 탈 버스가 노선에서 어디쯤 왔는지 바로 알 수 있기 때문. 그 외에도 책, 교육, 게임, 건강관리, 음악, 지도, 여행, 사무처리 등 편리하고 신기한 프로그램들이 넘친다. 특히 무선인터넷을 편한 마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건 큰 변화다. 일반 휴대폰을 쓸 땐 혹 무선인터넷 접속버튼을 잘못 눌렀다가 종료 버튼을 대여섯 번 눌러대곤 했다.
비싼 무선인터넷 요금을 물기 싫어서였다.

그러나 아이폰 같은 스마트폰에선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해 두면 음성통화·문자메시지·무선인터넷 사용량과 잔량을 언제든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요금이 많이 나올 순 있어도 자기도 모르게 '요금폭탄' 맞을 이유는 없어진 것. 스마트폰은 올해 500만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올 정도로 보급 속도가 빠르다. 정부도 우리나라를 무선인터넷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육성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저소득층엔 꿈 같은 얘기들이다. 이들이 비싼 요금을 물어야 하는 스마트폰을 쓰기란 결코 만만찮은 일. 하지만 정부는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 인터넷 보급 당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됐던 정보 격차 문제가 다시 사회문제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10년 간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정보 격차를 줄이는데 들인 비용만 2000억원에 이른다. 각 정부 부처가 투입한 예산을 모두 합치면 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타이밍을 놓칠 경우 정보 격차는 또 다른 문제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휴대폰으로 버스 오는 시간도 보고 지도도 보고 건강관리도 받을 권리가 있다.
정부와 이동통신사, 휴대폰 제조사들이 앞장서서 저소득층의 데이터통신 정보 격차에 신경 써야 할 때다.

/postman@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