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심층취재―나홋카 한국·러 공단] 동북아경제 주도할 ´기회의 땅´

정훈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10.08 05:10

수정 2014.11.07 12:37


‘내친 김에 동북아 경제권까지….’
남북간 화해와 경제협력 분위기가 경의선 철도·도로연결사업으로 결실이 나타났다.이를 계기로 개성공단 등 한반도 서북축개발이 가시화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러시아 극동지역의 나홋카에 한러공단조성 사업추진이 본격화되면서 한반도 경제교류 열풍이 러시아까지도 확산이 예고되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한국토지공사는 국제통화기금(IMF)관리체제 후 중단했던 러시아 진출을 발빠르게 전개하고 있다. 김윤기 건교부장관이 토지공사 재직때 러시아 나홋카 한러공단 조성사업을 주도한 장본인이다.

◇나홋카 공단조성의 의미와 배경=한러공단조성사업은 단순히 공단건설 이상의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장차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지로 우뚝 서게 될 연해주 지역에 우리기업이 진출, 경제적인 교두보를 확보함으로써 경쟁력 강화는 물론 러시아와 경제협력 관계를 긴밀히 하는 도화선 역할을 하게 된다.더욱이 러시아와의 경제적·문화적 교류확대에 따른 파급영향은 한반도의 긴장을 완전히 해소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한민족인 ‘고려인’의 생활터전인 연해주의 경제활성화는 곧 한민족에게도 자신감과 경제적인 부흥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홋카 공단조성사업 추진배경이 바로 ‘고려인’사회에 의해 제기됐다는 것이 이를 잘 뒷받침해 준다.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돼 이민족에 대한 차별정책이 심화되자 지난 91년 당시 러시아 고려인협회장은 중앙아시아에서 연해주로 이주하는 고려인들을 위한 생활터전을 마련해 달라는 진정을 우리 정부에 제출했다.
이것이 러시아 나홋카 공단개발을 본격 추진하는 계기가 됐다.

이에따라 정부는 현지조사에 착수하게 됐다. 지난 92년 4월에는 청와대 상공부 토지공사 KOTRA,농업진흥공사 등 정부 관계부처와 관련 기관이 합동으로 현지투자환경조사와 기술적 타당성검토에 들어갔다.
같은해 11월 한러 정상회담 때 극동연해주 공단조성에 합의함으로써 공단개발은 급류를 타게됐다.

사업활성화의 전제조건인 외국인 투자여건 및 기업의 경영환경과 관련한 러시아의 제도적 기반 미비와 러시아 의회의 비준 지연으로 시간을 끌어오던중 지난 97년 11월 한국이 IMF관리체제를 맞게 됐다.기업의 해외투자가 동결되고 이미 진출했던 해외기업마저 철수하는 등 해외경제시장 진출열기가 식었다.설상가상으로 지난 98년 8월 러시아 마저 채무지불유예(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서 나홋카 공단조성은 백지화 위기까지 맞았다.

양국은 어려운 경제난국 속에서도 경제협력의 불길을 살려 지난 98년말 제1단계사업규모를 30만평에서 6만평으로 축소하고 사업기간 5년도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99년 5월 김대중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때 조세 및 관세감면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같은해 12월 국회 인준을 받았고 러시아측은 현재 국회비준절차를 진행중이다.이 절차를 거치면 협정내용의 효력이 발생하고 사실상 공단조성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된다.

◇입지여건=나홋카 한·러공단은 극동아시아 최대의 컨테이너 화물처리항구인 보스토치니 항구와 러시아 심장부를 거쳐 유럽으로 이어지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선상에 입지,수출입의 근간인 물류메카에 자리잡고 있다.

경의선철도에 이어 경원선 철도까지 연결되면 물류수송 또한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여기에 러시아가 자랑하는 기초과학분야의 기술력과 목재·광물·수산물 등 넉넉한 천연자원과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은 진출기업에 넉넉한 경영환경을 조성해 줄 전망이다.‘고려인’들의 집단거주지로 기업의 해외진출을 가로막고 있는 언어장벽도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