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에너지산업에 국가미래 달렸다]日,러 송유관 확보 140억弗 제시…韓·中 따돌려

김규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4.12.20 12:17

수정 2014.11.07 11:12


‘에너지 블랙홀’인 중국이 본격적으로 자원외교에 나서면서 비상이 걸린 국가는 일본과 한국이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에 인접해 있는 데다 3개국 모두가 중동에 대한 원유수입의존도가 높아 서로 경쟁과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국가간에 에너지확보를 위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중국은 후진타오 국가주석 등 국가 지도자들이 나서 전방위 에너지외교를 벌이고 있고 일본 또한 고이즈미 총리가 직접 나서면서 에너지 외교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실제 일본은 가스전 등 에너지 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사할린에 미국보다 8배나 많은 8억2000만달러를 투자해 놓은 상태다. 또한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아자데간 유전 개발을 추진 중이다.

고이즈미 일본 총리는 지난해 러시아를 두차례나 방문하며 중국으로 확정됐던 러시아 시베리아 앙가르스크 유전의 원유수송 파이프라인을 중국의 다칭유전이 아닌 일본쪽으로 돌리는 조건으로 총 140억달러의 투자를 제시했다.


지난해 9월에는 아프리카 주요 산유국에 대한 10억달러의 무상원조와 30억달러 부채 탕감을 약속하기도 했다.

특히 시베리아 송유관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경쟁은 이들 국가가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노력하고 있는 가를 보여 주고 있다.

지난 2001년 러시아 유코스사와 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CNPC) 사이에 향후 25년간 매년 3억5000만t의 러시아산 원유를 중국 다칭유전까지 송유관을 매설하겠다는 계획은 고이즈미 총리의 경제협력 및 차관 제공 등 대(對)러시아 투자유인책으로 현재까지 결정이 유보된 상태다.

이같은 동북아 에너지 전쟁 구도에서 한국의 대응책은 뭘까.

에너지전문가들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동 지역에 지나치게 높은 원유공급 의존도를 축소하고 러시아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에너지 수급지역의 다변화를 통한 위험 분산을 해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장기적으로 중동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이 강화되면 한국의 협상력은 그만큼 약화될 수 밖에 없어 이같은 조치는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또 중동·러시아 지역 이외에도 카스피해 연안국 등 자원생산국에 대한 전방위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밖에 국제경쟁력을 지닌 에너지기업의 육성도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유 정제·판매가 주력인 현재의 정유회사가 아닌 원유개발투자까지 할 수 있는 민간 기업을 육성, 현재 3% 수준인 자주 원유개발 비율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mirror@fnnews.com 김규성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