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섬에서]대기업 일반의 편리공생/노종섭기자

노종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6.03.03 14:23

수정 2014.11.06 12:01



본래 공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쌍방이 모두 이익을 주고받는 상리공생(相利共生)과 한쪽만 이익을 보는 편리공생(片利共生)이 그것이다. 우리가 요즘 이야기하는 상생은 구성원이 화합해 모두의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것으로 상리공생을 두고 하는 말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회사와 노동조합, 회사와 사회, 회사와 지역주민… 등이 서로 협력, 모두가 윈윈하자는 것이 상생경영의 모토다.

그러나 최근의 상황을 보면 상리공생에서 시작된 상생경영이 편리공생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편리공생은 한쪽만 이익을 받고 다른 쪽은 이익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는 관계를 일컫는다.
최근 대기업을 꼭지점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생경영은 일방통행식이어서 편리공생에 가깝다 할 수 있다.

대기업은 주로 상대에게 이익을 주는 쪽이다. 하지만 중소기업, 노동조합, 지역주민에게 얻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기술이나 특허를 이전해주거나 엔지니어를 파견, 육성하는 관계다. 중소기업 지원을 통해 성과를 공유하는 추세다.

노동조합과 지역주민도 마찬가지다. 대기업을 정점에 두고 직원들은 임금인상 등을, 주민들은 복지시설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대기업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이들 상생의 파트너들도 큰 몫을 한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이같은 상생이 대기업 중심의 일방통행식이라는 점이다.

더군다나 대기업들도 파트너들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지만 외면 당하기 일쑤다. 최근 환율 급락으로 비상경영을 선언한 상황에서 파트너들의 도움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최근 비상경영에 돌입한 현대차가 협력업체와의 납품단가 조정에 나서는 한편, 과장 이상 임금을 동결했다.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협력업체는 물론 직원들의 고통 감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현대차의 주장이다. 그러나 현대차의 상생 파트너들은 이를 ‘납품단가 인하압력’ ‘임금동결 협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편리공생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물론 가장 이상적인 상생은 현대차가 파트너들의 고통 감내 없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춰 글로벌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세계 자동차 시장은 그리 녹록지 않다. 더군다나 환율 급락으로 수천억원의 환차손을 입고 있는 현대차로서는 사실상 비상사태다.


중소기업과 노조, 지역주민, 사회가 현대차에 이익을 주는 상리공생이 필요한 때다.

대기업이 협력업체를 도와주고 직원의 복지 수준을 높이는 일방통행의 상생에서 탈피, 협력업체와 직원들로 필요에 따라 회사의 고통을 감내해 서로가 윈윈하는 양방통행의 상생 이정표를 만들 때다.
편리공생만으로는 우리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 njsub@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