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식품업계 “식품값보다 공공요금 잡아라”

박승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1.14 06:10

수정 2011.01.13 22:37

정부는 13일 발표한 물가안정 종합대책에 앞서 일부 품목에 대한 가격 담합 조사와 함께 설 이전까지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조치를 내렸다.

이에 대해 식품업체들은 정부가 시장논리를 고려하지 않은 채 '관치'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업체는 정부 눈치보기로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KB투자증권 이소용 애널리스트는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을 감안할 때 시장 논리 측면에서 식료품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또 정부가 일부 식품가격 인상을 사실상 규제하고 있지만 가격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과 경기회복을 기대하면서 물가를 잡겠다는 것은 모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11월 수입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8.2%를 기록하면서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문제는 국제 원자재 가격 추가 상승 등 해외발 물가압력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부에선 물가 상승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공공요금 등 서비스 물가를 잡는 것이 밀가루나 설탕, 2차 가공식품 인상을 막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대우증권 고유선 글로벌경제팀장은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중치를 분석해 보면 공공요금 등 서비스부문이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반면 식료품 등 상품은 40% 수준"이라며 "글로벌 유동성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이어서 정부의 가격 규제는 일시적인 대책에 머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속에서도 주요 식료품 가격 인상은 시기의 문제만 남았다는 지적이다.


제과업체의 한 관계자는 "제품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만 정부의 물가대책 등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최근 몇 년간 올리지 못한 제품의 경우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해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기업이 적자를 보면서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만큼 정부가 업계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제과업체 관계자는 "제과제품 가격은 선행하는 곡물가를 보고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최근 1년간 상승분을 반영하는 구조"라며 "최근 1년 새 소맥 가격 급등(91%)을 감안하면 올 3월 내 인상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sdpark@fnnews.com박승덕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