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김원준 기자】 "임산물 재배면적 제한이 폐지돼 임업인의 산림경영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1일 신원섭 산림청장(사진)은 "올해 산지분야 규제개선 추진방안에는 임산물재배면적 제한을 폐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면서 "이렇게 되면 임산물재배단지가 규모화·집단화돼 청정임산물 관련시장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지난 5월 임산물 재배 제한면적 5만㎡을 폐지하는 산지분야 규제개선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임산물 재배의 경우 복구비 예치를 없애고 대상면적에 관계없이 별도의 복구공사 감리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이 경우 1만㎡ 기준 약 4800만원의 복구비와 약 250만원의 복구공사 감리비를 절약할 수 있게 돼 임업인들의 경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규제완화 이전에는 임산물 재배 때 벌채.굴취가 이뤄질 경우 복구비 예치와 함께 복구공사 감리(1만㎡이상의 경우)를 받도록 규정돼 있었다. 신 청장은 "재배면적제한 규제가 풀리면 연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액이 3%포인트 증가하고 연 1000억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신 청장은 국내 임업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임산물 수출경쟁력 강화를 꼽는다. 산림청은 위생적인 환경에서 안전하게 수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수출인관시스템을 갖춘 수출특화지역을 매년 1곳 이상씩 지정하고 있다. 수출특화지역 공동수출시설에서는 임산물을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인증에 부합되도록 관리하고 시장조사를 통한 고부가가치 수출전략상품도 개발하고 있다. 신청장은 "한류 열풍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러한 기회를 살려 고급소비층을 타깃으로 해외 마케팅을 추진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분석했다.
산림청은 올해 수출국 다변화를 위해 유망시장을 대상으로 다양한 해외시장개척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중국 시안에서 열린 'K-푸드 Fair'에 참가해 국내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린 것을 비롯, 중국 내 백화점 등에서 판촉행사를 진행,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의 할랄시장에서 열리는 식품박람회와 K-푸드 Fair에도 참가, 제품 홍보와 바이어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신 청장은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수출경쟁력을 강화해 임산물 수출이 임업성장의 신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