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아베정권 지지율 30%대 추락.. 역대 두번째 수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1 17:41

수정 2015.09.21 17:41

안보법안 강행처리 역풍
집단자위권 법안 등 안보법안을 참의원(상원) 강행 처리한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의 지지율이 역대 두번째 수준으로 추락했다.

지난 7월 중의원(하원)에서 안보법안을 강행 통과시킨 직후 지지율이 역대 최저치인 30%대로 떨어진 바 있다.

21일 니혼게이자이신문,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안보법 통과 직후인 지난 19~20일 긴급 여론조사에서 아베정권 지지율은 최대 6%포인트 가량 떨어졌다. 여론을 외면한 집권 자민당의 안보법 강행 처리에 일본 국민들의 반감이 컸기 때문이다.

니혼게이자이의 여론조사에서 아베 내각 지지율은 40%로 추락했다.
2012년 아베 정권 출범이후 역대 두번째로 낮은 지지율이다. 역대 최저의 지지율을 보였던 지난 7월(38%)이후 8월 조사때 잠깐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셈이다.

또 안보법 성립에 부정적인 의견이 54%로 긍정적인 평가(31%)보다 많았다.

다만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한 찬반 의견은 안보법의 성립 전후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반대한다'는 응답이 53%로 '찬성한다(28%)'에 크게 앞섰다.

교도통신도 같은 날 조사에서 아베 내각 지지율은 전달(43.2%)보다 하락한 38.9%로 나타났다.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0%를 넘었다. 안보법 통과로 자위대가 전쟁에 나설 위험이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68%에 달했다.

요미우리신문 조사에서도 아베 내각 지지율은 전달 45%에서 41%로 떨어졌다. 마이니치신문 조사에선 '안보법이 전쟁과 무력행사를 금지한 헌법 9조에 어긋난다'는 의견은 60%로 나타났다. '위헌이 아니라'는 의견은 24%에 그쳤다.

한편, 아베 정권의 안보법안 처리 저지에 실패한 일본 야당들은 반(反)아베 연합전선 구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제1야당인 민주당을 비롯, 유신·사민·공산당 등 야권들은 내년 7월 참의원 선거에서 단일 후보를 내세우는 등 집권 자민당에 맞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현재 중의원에서는 집권 자민당 정권이 전체 의석의 3분의2(317석)를 확보하고 있다.

장기 집권에 성공한 아베 정권은 안보법 통과 이후 다음 목표가 '전쟁 포기를 약속한' 헌법 9조의 개헌이다.
이렇게 하려면 내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과반이상 의석을 확보해야 한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