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위 계획에 지역구 통폐합 해당 의원 김무성·문재인에 요구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위원회의 지역구 수 확정 계획 발표 이후 지역구가 '공중분해'될 위기에 처한 농어촌 지역구 여야 의원들이 농어촌 지역의 대표성을 인정해달라며 '특별선거구' 설치를 요구했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선거구 획정위는 최근 내년 4월 20대 총선의 지역구 수를 244∼249개 범위에서 정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장 인구가 줄어드는 농.어촌에서 지역구 감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여야를 막론하고 농어촌에 지역구를 둔 현역 의원들이 발끈하고 나선 것이다. 현재 인구 하한선에 미달해 통폐합 대상인 지역구 26곳 중 20곳이 농어촌 지역이다.
새누리당 장윤석·권성동·한기호·황영철, 새정치민주연합 이윤석의원 등 농어촌 지역구 여야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기자회견을 통해 농어촌 지역 특별선거구 설치 주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는 새누리당 의원 15명과 새정치연합 10명 등 총 25명으로 구성된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모임' 이름으로 발표됐다. 이들은 "농어촌.지방의 지역대표성 확보 및 국토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기형적 선거구 탄생을 방지해야 한다"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 각각 1석 이상의 특별선거구를 채택해 선거구를 획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농어촌.지방에 대한 배려가 없는 의석수 결정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 획정위의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위가 결정한 지역구 의석수 규모를 즉각 철회하고 농어촌 지역 특수성 및 대표성을 감안한 새로운 수정안을 만들 것을 요구했다. 이어 지역구 의석수 확대와 비례대표 정수의 축소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을 촉구하면서 강력한 투쟁 의지를 다졌다.
특히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전격 회동을 통해 특별선거구 신설을 포함한 선거구제 문제를 매듭지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획정위 안대로 할 경우 일부 지역에서 6개 이상의 지자체가 하나로 묶이는 기형적 선거구가 생길 수 밖에 없고, 지역 대표성이 훼손될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윤석 의원은 "서울시 국회의원 48명이나 전남 무안·신안은 국회의원 한 사람인데 서울시 면적의 24배"라며 지역의 대표성을 인정해줄 것을 주문했다. 국회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유지하면서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를 채택할 경우 비례대표수는 7∼10명 감소가 불가피하다. 여야 지도부도 농어촌 및 지방 지역구 감소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 대안 마련을 요구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년 총선 지역구 숫자를 244∼249석으로 결정한 것은 비현실적인 안(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를 시작한 뒤 문 대표와의 회동을 통해 대안 마련에 나설 수 있음을 내비쳤다.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호남 의원들을 중심으로 선거구 획정 문제에 대해 당 차원에서 높은 관심을 갖는 한편 문 대표 등 지도부에서 대안 마련에 적극 나서줄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윤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