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가 각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수용태세를 진단하고 개선하도록 컨설팅을 해줬지만 이행률이 27.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일 새누리당 의원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출받은 '지자체 관광수용태세 진단 및 개선컨설팅 개선사업 추진실태'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는 전국 49개 지자체에 총 681개의 개선사업을 제안했지만 추진된 사업은 188개였다. 평균 이행률이 27.6%에 그쳤다.
전국 지자체의 이행률 현황을 보면, 거제시는 10개 개선사업을 모두 추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릉시는 12개 개선사업 중 9개(75.0%), 안동시는 6개 개선사업 중 4개(66.0%), 전주시도 9개 개선사업 중 6개(66.0%)를 추진했다. 군산시와 인천시 중구는 15개씩 제안 받아 각각 8개(53.0%)를 추진했고, 고양시는 가장 많은 23개를 제안 받아 12개(52.0%)를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9개 지자체 중 이행률이 100%가 1곳(거제시), 60% 이상은 3곳, 50% 이상이 5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40% 이상은 7곳 이었고, 30% 이상은 6곳이었음. 30% 미만이 27곳이었는데 이 중 4곳은 이행률이 0%였다. 이행률이 50%가 넘는 곳이 9곳으로 전체의 18.3%에 그쳤다. 자치단체별로 제안 받은 사업 수에 따라 추진실적이 다르다 보니 이행률에도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11월 수용태세 개선진단을 받은 47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한 결과, 한국관광공사가 제안한 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가장 이유가 '재원조달의 어려움(25.0%)'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실행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아서'와 '지자체 내 우선순위가 낮아서'가 각각 18.0%였으며, '사업효과가 낮을 것으로 판단되어'가 16.0%를 차지함. 나머지 이유로 '담당자의 교체(12.0%)', '인력부족(12.0%)'등 이었다.
이 의원은 "지자체 재정여건이 나빠 추진을 못한다는 의견이 제일 많았다. 하지만 지자체의 정책판단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며 "지자체에서 사업 우선순위를 낮게 두거나 사업효과가 낮다는 이유로 추진을 안 하기도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