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의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인수작업이 오는 25일 최종 마무리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한전부지 인수대금 총 10조5500억원 가운데 마지막 잔금 3조1650억원을 25일 한전에 납부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컨소시엄에 참여한 3사가 분담비율에 따라 대금을 나눠 낸다. 현대차(55%)가 1조7407억원, 기아차(20%)와 현대모비스(25%)는 각각 6330억원,7913억원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낙찰받은 직후 매입 대금의 10%인 1조550억원을 한전에 지급했고, 올해 1월과 5월에 30%씩 나눠 잔금을 냈다.
■현대차그룹,GBC건립 속도낸다
부지 대금 완납후 60일이내에 소유권 이전 등록을 해야하는 행정상 절차만 남겨둬 잔금납부가 완료되는 시점부터 현대차그룹이 한전부지의 새로운 주인이 된다. 지난해 9월18일 한전부지를 낙찰받은 후 1여년만이다.
이날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재 잔금납부와 인수절차에 전혀 문제가 없다"며 "25일 별도의 행사는 계획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대금 완납후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한전 부지에 약 5조원을 투입해 지상 115층·최고높이 571m의 그룹통합사옥, 전시 컨벤션 센터, 호텔, 상업지구, 자동차 관련 테마파크 등이 포함된 'GBC'를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도 한전건물에는 현대글로비스, 현대위아, 현대엔지니어링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 1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한전 부지 주변 상권 보호를 위해 한전간판을 떼고 올해초부터 계열사들을 입주시켰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6월 서울시에 제출한 '한전부지 개발 구상 및 사전협상 제안서'에서 GBC건설과 운영을 통해 총 262조6000억원의 생산유발과 132만4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예상했다. 제안서에는 이외에도 GBC 건립계획 등이 담겨 있다. 다만 향후 인허가 과정에서 현대차그룹이 서울시와 조율해야하는 내용이 적지않아 개발계획이 다소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게 현대차관계자의 설명이다.
현대차그룹의 사전협상 제안서는 서울시가 강남구 등 해당 지자체 및 관련 부서와 협의 후 도시계획위원회 등 전문가 자문, 협상단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협상조정협의회 등을 거쳐 어느정도 현실화될 지 윤곽이 잡히게 된다. 확정된 내용을 토대로 지구단위계획을 변경·결정하고 건축허가가 떨어지면 GBC 등이 착공에 들어간다.
■서울시·강남구 갈등이 변수
현대차그룹 계획대로라면 2016년말까지 인허가 절차를 매듭짓고, 2017년초 공사를 시작해 오는 2021년 완공예정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서울시와 강남구의 갈등이 한전부지 개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현대차그룹이 한전부지 토지 용도변경에 대한 기부채납금(공공기여금)으로 제시한 1조7030억원을 어디에 투입하느냐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져 향후 인허가 등 행정절차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기부채납금을 강남구뿐아니라 송파구 일대 개발에도 활용하기 위해 '국제교류복합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을 기존 한전부지 일대에서 송파구 잠실운동장까지 확대했다. 그러나 강남구는 기부채납금을 강남구 개발에 우선 사용해야 한다며 영동대로 '원샷개발'에 투입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부동산 개발 전문가는 "개발규모가 클 수록 인허가 등 행정절차가 다소 복잡하고 오랜 시일이 걸린다. 그만큼 개발비용도 늘어날 수 있다"며 "한전부지가 계획대로 2021년까지 탈바꿈하려면 관련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