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지난 15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서 확정된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노사정 합의문'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일 조사·발표한 '13개 주요그룹 일자리 확대 계획'에 따르면, 삼성, SK 등 13개 그룹은 연초 계획대비 10% 이상 신규 채용 규모를 늘려 약 10만 3000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연초 계획보다 채용을 늘릴 예정인 그룹은 삼성(2000명), SK(1000명), GS(200명), 한진(540명), 한화(3987명), CJ(1600명), 효성(51명) 등 7개 그룹으로 총 9378명을 더 뽑는다.
현대차, 롯데 등 6개 그룹은 중국 성장 둔화, 수출 부진 등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됐음에도 연초 계획된 채용규모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통상 30대 그룹의 연간 채용규모가 12만명 정도임을 고려할 때 조사대상인 13개 그룹이 약 1만명을 연초 계획 대비 더 뽑는 것은 상당한 규모"라면서 "특히, 최근의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할 때, 기업들의 큰 결단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13개 그룹 중 내년 이후 채용 계획을 밝힌 8개 그룹의 경우 올해 대비 내년 이후 채용 규모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실제 지난 7월 27일 '청년 일자리 기회 20만+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정부와 경제계 협력선언 이후, 개별 그룹별로 발표한 채용 확대 계획을 분석해 본 결과 2016~2017년 채용예정 규모는 올해 연초 계획 대비 14.5%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 개별 그룹별로 기존에 발표한대로 향후 5만 8000명의 청년에게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사회맞춤형 학과 및 창업교육 등 양질의 일자리 기회 제공도 차질없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2017년(또는 2018년)까지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은 6개 그룹에서 9400명 이상을 모집할 예정이며, 사회 맞춤형 학과는 9개 그룹에서 4800명 이상, 기타 창업교육 등의 경우 6개 그룹에서 4만 4000명에게 제공될 계획이다.
전경련은 "이미 일자리 확대계획을 발표한 13개 그룹의 경우 철저하게 이행해 나갈 것이며, 향후 노동개혁 관련 입법이 속도를 낸다면 13개 그룹 이외 많은 대기업이 청년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에 동참하여 성과가 확산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courage@fnnews.com 전용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