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폭스바겐 코리아, "국내 판매된 차량, 미국과 엔진이 달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2 15:00

수정 2015.09.22 15:00

폭스바겐·아우디의 미국 판매모델 배기가스 조작 사건으로 국내 수입된 물량들도 엄격한 조사의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22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해당 차종에 대해 세관통관 절차가 끝난 신차 위주로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기준치를 넘어섰다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미국처럼 '리콜'을 명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EU의 자유무역협정(FTA) 상에 배출가스 관련 기준은 EU 기준을 따르기로 규정돼 있다. 그런데 EU는 주행 중인 디젤차의 배출가스 규제를 2017년 9월 이후 판매되는 신차부터 적용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폭스바겐 코리아는 "문제가 되고 있는 차종들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델들인데, 한국에 판매되는 폭스바겐·아우디 차량은 유럽기준으로 따르기 때문에 디젤 엔진이 미국 모델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디젤 승용차 48만여대에 대한 리콜을 명령했다. 폭스바겐은 배기가스 배출량을 속이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미국 환경기준의 40배를 초과하는데도 이를 감춰 왔다. 해당 모델은 2009~2015년 생산된 폭스바겐 제타, 비틀, 골프, 14~15년형 파사트, 2009~2014년 생산된 아우디A3이다. 국내에 판매된 이 차종은 약 5만 9000여대가 판매됐다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는 이날 "소비자를 기만한 폭스바겐의 사기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
또한 정부가 신차뿐만 아니라 시중에 판매된 차량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조사를 실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폭스바겐은 친환경 엔진, 연비의 효율성을 홍보했다.
그런데 만약 폭스바겐이 미국에서와 같이 한국시장에서도 배기가스 배출량을 조작한 것으로 확인된다면, 이는 거짓 광고, 기만적인 광고로 소비자를 속이고 기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정부는 폭스바겐과 아우디 디젤차량의 배기가스, 연비 조작 등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며 "정부는 이번 문제에 대해 한·EU FTA 통상문제 등을 우려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