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中企 최근 3년 R&D 사업화 성공 59.2%, 실패는 9.9%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3 12:00

수정 2015.09.23 12:01

중소기업의 최근 3년 연구개발(R&D) 사업화 성공률이 59.2%로 나타났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3년간 R&D 실적이 있는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R&D 사업화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1개사 당 평균 6.1건의 R&D 결과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화 성공율은 59.2%, 실패율은 9.9%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화 성공 시 기업들은 해당 기술을 '기존 제품의 성능이나 품질 향상(69.2%)' 또는 '신제품 개발(65.6%)'에 활용하고 있고, 사업화 실패 시 대부분의 기업이 R&D 결과물을 '전략적 보유(72.1%)'하거나 '단순 미활용(22.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가장 큰 이유는 시장성 부족이 50.0%로 가장 많았고, '결과물의 기술 경쟁력 부족(34.6%)', '자금 부족(25.6%)'이 뒤를 이었다.


사업화를 '기술의 적용, 시제품 제작, 출시품 생산'의 세부 3단계로 나누었을 때 중소기업이 느끼는 단계별 애로요인을 살펴보면, 기술의 적용 단계에서 '자금(30.0%)' 및 '기술(24.0%)',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자금(48.0%)' 및 '시설·장비(18.7%)', 출시품 생산 단계에서 '자금(35.3%) 및 수요·판로(35.0%)로 응답했다.


사업화 촉진을 위해 가장 확대되어야 할 정부의 지원은 '기술 및 사업성 평가 통한 자금 지원'이 63.0%로 가장 높았고, '검사·생산 위한 설비 및 장비 지원(31.3%)', '전문 인력 지원(26.7%)', '수요 창출 지원(23.7%)'을 꼽았다.


경기 소재의 한 물품운반장치 제조업체 대표는 "중소기업이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에 여전히 금융권의 문턱이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기술력을 담보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것이 급선무다"고 밝혔다.

yutoo@fnnews.com 최영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