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북한, 서방언론에 최초로 위성 관제소 공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3 16:55

수정 2015.09.23 16:55




북한이 서방언론에 사상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 관제소를 공개했다. 평화적 목적의 로켓 개발을 강조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미국 CNN방송은 22일(현지시간) 외국 언론 가운데 처음으로 취재가 허용됐다며 북한의 새 위성관제종합지휘소(이하 관제소)의 외관, 과학자들의 짧은 인터뷰를 담은 뉴스를 내보냈다.

이 관제소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자택과 가까운 평양 도심의 보통강 구역 서재골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송에서 CNN기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최고 대학에서 선발된 젊은 과학자들을 주축으로 한 연구진 300명이 밤낮으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관제소는 근처에 사람이 전혀 보이지 않아 을씨년스러운 풍경을 자아내는 야산 기슭의 돔형 건축물이었다.

관제소에서 근무하는 과학자 배정혁은 인터뷰에서 "요즘 들어 밤낮으로 더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제소 과학자들은 CNN 인터뷰에서 로켓 발사의 목적이 평화로운 우주연구, 인공위성 발사에 있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CNN은 북한이 발사하는 로켓에는 인공위성뿐만 아니라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는 해외 과학자들의 우려도 함께 강조했다.

북한 과학연구 기관의 한 간부는 "우리가 무엇 때문에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에 핵폭탄을 떨어뜨리겠느냐"고 반문했다.

CNN은 이 인터뷰 발언을 전하면서 최근 북한 국영매체가 핵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미국이 우려를 나타냈다는 사실을 재차 언급했다.

관제소 관계자는 관제소 내부를 보여 달라는 요청을 정중하게 거부했다.
그는 "보여주고 싶지만 그러면 서방이 온갖 종류의 선동을 할 것이고 그로 인해 우리 젊은 과학자들의 마음이 상할 것"이라고 거부 이유를 밝혔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