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은행권에서는 대통령 주도로 청년희망펀드 출시가 이뤄지면서 은행간 과열 경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각 은행들은 매일 청년희망펀드 가입 실적을 국무조정실에 보고해야 한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우려가 확산되자 청년희망펀드를 출시한 KB국민, 신한, 우리, 농협은행 등은 청년희망펀드 가입 건수와 금액 내역을 공개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청년 취업 지원이라는 좋은 취지와 달리 은행이 내부직원에 기부를 강요했다는 논란이 일면서 이 같이 결정했다"고 말했다.
실제 하루 전인 22일에는 KEB하나은행이 구두지시와 지주 차원의 이메일 등을 통해 은행은 물론 하나금융투자 등 계열사 직원에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독려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상품 사전 숙지와 솔선수범 차원에서 안내 메일을 발송한 것"이라며 "의무 가입을 강요한 것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선 영업점 직원은 "출시 후 이틀 간 총 10계좌가 팔렸는데 모두 지점 직원 내부 가입 건이었다. 외부 가입 고객은 1명도 없었다"며, 회사의 방침에 부담이 느끼는 직원이 많음을 시사했다.
청년희망펀드를 통한 기부금은 이르면 10월 설립 예정인 '청년희망재단(가칭)'의 청년일자리 사업지원에 사용될 계획이다.
청년희망'펀드'라는 용어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펀드'는 기본적으로 투자에 대해 일정 수익을 돌려받는 상품인데 청년희망펀드는 100% 기부금"이라며 "혼동을 줄이기 위해 '기금'이나 '기부' 등으로 순화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