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시간) 백악관 정상회담 기자회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아주 생산적인 회담을 했다"고 밝혔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도 "회담이 건설적이고 생산적이었다"고 밝혔다.
우선 두 정상은 첨예한 갈등 이슈였던 사이버 해킹 문제와 관련 해킹 방지를 위해 노력키로 함으로써 갈등을 봉합했다.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시 주석이 미국에 도착한 이후 여러 경로를 통해 중국 정부가 최근 발생한 사이버 해킹의 배후라는 점을 지적했으며 시 주석도 연설을 통해 중국 정부와 해킹 문제는 관련이 없다고 밝히면서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하지만 두 정상은 양국 당사자간 핫라인 개설을 포함해 고위급 사이버 안보대화 개최와 사이버 범죄 수사에 대한 수사와 기소를 강화키로 하는 등 한 발씩 양보해 정면 충돌을 피했다. 이와 관련 시 주석 방문에 앞서 지난 11일 멍젠주 공산당 중앙정법위원회 서기가 시 주석 특사 자격으로 워싱턴을 방문해 존 캐리 미 국무장관과 만나 모종의 협의를 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두 정상은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인권 문제를 놓고선 대립각을 세웠다.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영유권 주장과 인공섬 건설, 분쟁지역의 군사력 강화 등에 대해 시 주석에게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며 "미국은 국제법이 허락하는 어디에서도 항해하고 비행하며 작전을 벌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예로부터 남중국해 섬들은 중국의 영토로, 우리 자신의 영토적 권리와 합법적이고 정당한 해양의 권익을 보전할 권리가 있다"고 받아쳤다.
또한 인권문제에 대해서도 오바마 대통령은 "언론인과 변호사, 비정부기구, 시민사회단체가 자유롭게 활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교회를 폐쇄하고 소수민족의 동등한 대우를 부정하는 것은 모두 문제가 있다는 우리의 강하고 분명한 입장을 솔직한 어조로 표현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라고 인정하지만 그들의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고 달라이 라마와 그의 대표성을 인정하도록 촉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주석은 "민주주의와 인권은 인류의 공통 절차"라면서도 "그러나 동시에 모든 나라는 다른 역사적 과정과 현실을 갖고 있다는 점을 우리가 인정해야 한다"고 맞섰다. 그는 "모든 나라가 자신들의 독립적인 개발 방식을 선택할 권리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 오바마 대통령의 지적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hjkim@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