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고령화 등으로 종합적인 자산관리 서비스 수요가 증대하자 금융회사들이 온라인 자산관리 브랜드를 출시하는 등 전용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온라인 채널을 통한 가상 자문(Virtual Adivice) 서비스가 출시되는 등 온라인 자산관리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28일 우리은행경영연구소가 발표한 ‘국내외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 현황’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금융회사들은 최근 온라인 자산관리 플랫폼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플랫폼 ‘청춘 100세 머니플랜’을 통해 인터넷뱅킹 고객들에게 재무플랜(재무설계), 자산플랜(포트폴리오 제안 등), 모니북(온라인 가계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머니멘토(Money mentor)’ 플랫폼을 통해 인터넷뱅킹 고객에게 지출관리, 자산관리, 투자포트폴리오 제안, 자투리 관리 통장 등의 서비스를 PC와 모바일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자산배분솔루션’ 플랫폼을 통해 인터넷뱅킹 고객에게 포트폴리오 제시 및 분석, 포트폴리오 매매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중이다. 단, 매매 시에는 수수료가 발생한다.
온라인 자산관리 플랫폼의 발달은 가상 자문 서비스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금융회사들은 전자적인 시스템만으로 충족시키기 어려운 온라인 자산관리 수요에 온라인 채널을 통한 전문가(PB, RM)와의 상담.자문 서비스인 ‘가상 자문’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인터넷뱅킹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로 펀드 전문 상담원이 전화와 이메일(email)을 통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객이 원할 시 펀드 전문가가와 1:1 화상 상담 서비스도 가능하다.
KB국민은행은 온라인 PB제도를 도입해 시범운영 중이다. KB온라인 PB는 온라인 거래 비중이 높고 거래 실적이 우수한 고객을 대상으로 재무설계, 포트폴리오 제안 등의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스마트WM센터를 운영 중이다. 온라인 거래 비중이 높고 거래 실적이 우수한 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가 활발해지고 우수고객들의 스마트기기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며 “ 신한은행의 우수고객관리 분야에 축적된 최고수준의 맞춤 자산관리 서비스를 모바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