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공간자산 활용 등 다양한 정책 펼칠 예정
부산시가 상수도사업본부, 부산지방경찰청 등과 협업을 통해 빈집 정보 공유시스템 가동에 들어가 범죄, 화재 등 사회문제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매년 증가하는 빈집 문제가 사유재산 관리의 개념을 넘어 공공 안전과 직결되는 공적 관리대상으로 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빈집 정보 시스템'을 도입, 다음달부터 가동에 들어간다고 29일 밝혔다.
빈집 정보 시스템이 가동되면 주택의 상수도 사용량 정보를 통해 실제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빈집인지, 어디에 있는지, 얼마동안 비어 있었는지, 빈집들이 얼마나 모여 있는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부산시와 상수도사업본부가 부서 간 칸막이를 허물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과제를 중심으로 협력한 점이 높게 평가돼 지난 3월 30일 국민심사단 100명의 투표에서 '2015년도 정부3.0 50대 선도과제'에 최종 선정된 데 이어 지난 17일 부산시 정부3.0 자체 경진대회에서도 우수사례로 뽑혔다. 지난 8월 빈집 정보 시스템 구축용역이 착수돼 다음달 완료될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빈집을 지역의 공간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부산시는 경찰청에 빈집 정보를 제공하고 경찰청으로부터 범죄 발생 우려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방범등, 폐쇄회로TV(CCTV) 등을 설치하거나 빈집을 철거하는 '빈집 범죄예방 시경(市警)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정정규 부산시 도시정비과장은 "빈집 정보 시스템의 가동으로 빈집 정책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면서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정부3.0 핵심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노주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