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무성의 총선룰.. 당청이 '요동'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30 17:38

수정 2015.09.30 17:38

"야권에 말려들었다" 등 靑·친박계 십자포화
김무성 "최종 합의 아냐 논의 통해 대안 모색"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던진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이하 안심번호 공천제)라는 '총선 룰 승부수'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여야 대표간 강제력이 없는 '정치적 합의사항'임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유엔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9월30일 청와대가 즉각 안심번호 공천제를 조목조목 비판한 것도 '이례적'이다.

당내 친박근혜계도 "내부 협의절차없이 졸속 합의했다", "야당 프레임에 말려들었다"이라며 김 대표를 향해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흡사 과거 공무원연금 개혁안 관철을 위해 국회법 개정안을 야당에게 '전리품'으로 내줬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불신임끝에 원내대표를 사퇴한 유승민 전 원내대표 건이 오버랩되기도 한다. 여야 대표간 정치적 협상안에 대해 청와대가 사실상 '정치적 거부권'을 행사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반면 김 대표 측은 청와대와 친박근혜계의 암묵적 공조속에 이뤄진 반발 단일대오에는 내년 총선에서 영향력 배제를 우려한 '속내'가 깔려있다는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특히 청와대의 민심왜곡, 조직선거, 고비용공천 등의 주장에 대해 거꾸로 조목조목 반박한다.

오픈프라이머리 전면 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의 정치현실을 반영한, 일종의 오픈프라이머리+여론조사의 '절충안'이라는 것이다.

평소 국회 영역인 정치현안에 대한 입장 표명을 자제하는 청와대 입장을 볼 때 안심번호 공천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려는 의도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것도 자칫 공천 지분 싸움으로 비쳐질 수 있는 총선 룰을 놓고 '친정'인 여당 대표의 정치적 협상까지 '직격탄'을 날린 것은 그만큼 안심번호 공천제가 청와대로선 달갑지 않은 의제라는 점을 방증한다는 게 김 대표측 판단이다.

청와대의 '민심왜곡', '역선택' 우려에 대해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걸러진 암호화된 일회용 가상 전화번호인 만큼 여야가 동시에 안심번호 공천제를 실시할 경우 야당 지지자가 본인이 지지하는 후보자를 선택하는 기회를 상실하면서까지 고의로 약한 여당 후보를 역선택할 가능성은 적다고 반박한다.

동원선거 우려와 관련해선 국민공천 선거인단 표본 수를 과감히 대폭 늘리면 특정 후보 지지자들의 전략적 쏠림 현상을 어느정도 차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유권자 신분이 노출되지 않고 전화투표를 하기 때문에 동원선거의 폐해를 막을 수 있다는 논리를 편다.

박 대통령의 부재속에 총선룰을 전격 합의한 데 대한 비판과 관련해서는 "핵심 정치 현안에 대해 공당 대표간 협의하는 것까지 일일이 청와대 눈치를 봐야한다면 오히려 입법부가 청와대에 예속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비용 공천 지적에 대해서도 임의 가상번호에 의한 안심번호 공천인 만큼 여야 합의만 된다면 조직동원이나 돈선거 등이 우려되는 '체육관 경선'보다 소요 비용이 적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졸속합의 우려와 관련해선 김 대표 측은 "아직 최종 합의가 안 됐고, 당내 논의과정을 거쳐 최적의 대안을 모색하자는 것"이라며 당내 조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열린 비공개 의총에서도 친박근혜계와 김 대표측 주류 의원들간 안심번호 공천제 도입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