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한국벤처 미국선 이방인.. 한번 실패땐 재기 어렵다"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4.12 22:33

수정 2016.04.12 22:33

실패 먹고사는 실리콘밸리.. 韓 스타트업엔 여전히 높은 벽
핑거센스 기술로 주목 이상원 퀵소 대표
"펀딩 오래 걸릴수 있어 자금 고갈되기 몇달전 다음 펀딩 준비해야"
"한국벤처 미국선 이방인.. 한번 실패땐 재기 어렵다"

글로벌 정보기술(IT) 산업의 본고장이자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들의 요람으로 불리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빨리, 일찍, 자주 실패하라'라는 격언이 진리로 통한다. 그러나 '이방인'인 한국 스타트업들은 이 격언에서 예외다. 언어장벽과 비자 문제 등 행정적 장애물이 있어 한 번의 시행착오는 낙오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창업자들이 실리콘밸리에서 승부수를 띄워야 한다는 게 성공 창업가들의 조언이다. 소프트웨어(SW) 개발자 등 뛰어난 엔지니어와 협력할 수 있고, 풍부한 자본을 갖춘 벤처캐피털(VC)의 직설적 피드백을 바탕으로 사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어 글로벌 시장 공략의 교두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얼리어답터'(남보다 먼저 신제품을 사서 써보는 사람)가 많아 각종 아이디어 제품의 테스트베드(시험대)로 가장 적합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실리콘밸리 진출에 성공한 한국인 창업자들은 "미국 현지에서 한 번의 실패는 매우 치명적"이라며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여라

이상원 퀵소 대표는 12일 경기 성남 분당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콘퍼런스' 무대에 올라 "기술 상용화와 투자유치 등 창업과정에서 스타트업이 겪는 시행착오는 치명적일 수 있다"며 "이를 최소화하려면 업계 최고의 인재를 고용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영입할 역량이 되지 않는다면 고문으로라도 함께 파트너십을 맺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실리콘밸리에서 창업과 사업 확장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5명의 창업가는 실리콘밸리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노하우를 제시했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 등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창업에 나선 이 대표는 손가락 끝이나 손마디로 스마트폰 화면을 톡톡 건드려 작동시키는 '핑거센스' 기술을 바탕으로 실리콘밸리에서 100억원 넘는 투자를 유치했다. 또 최근에는 중국 화웨이 스마트폰에 이 기술을 탑재했으며, 알리바바와 사업제휴 계약도 마쳤다. 이 과정에서 특허와 법률, VC 등 분야별 전문가를 고문으로 영입해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일 수 있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대표는 "펀딩이 생각보다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둬야 한다"며 "자금이 고갈되기 3~6개월 전부터 다음 펀딩을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때 유명 VC별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면 어떤 VC가 자신의 회사 기술에 관심을 갖고 투자에 나설지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대표의 조언이다.

■뉴욕 '실리콘앨리' 진출도 유망

미국시장 진출을 고민하는 스타트업들에 실리콘밸리 못지않게 뉴욕 내 창업단지인 '실리콘앨리'도 기회의 땅으로 꼽히고 있다.

전 세계에서 35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앱) '눔(NooM)'을 출시한 정세주 눔 대표는 "뉴욕은 다양한 국적의 인재들이 몰려 있고, 투자유치에 필요한 자산관리사나 투자사 관계자들을 가까운 거리에서 늘 만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라고 전했다.


현재 눔은 14개국에서 온 100명 이상의 임직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3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 최근에는 뉴욕시의 헬스케어정책 개혁에 동참, 현지 유명 병원.보험사와 제휴해 공공의료분야 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


정 대표는 "한국인으로서 언어장벽이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한 뒤에야 그나마 현지인들과 동일 출발선에 설 수 있었다"며 "자신의 논리를 분명히 세워서 투자자에게 사업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