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업 일자리 창출 능력 2006년보다 45% 떨어져

정상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10.02 17:07

수정 2016.10.02 17:07

기계 증가에 노동자 줄어 경기침체 등도 영향미쳐
국내총생산(GDP)의 14% 안팎을 차지하는 건설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지난 2006년 이후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일자리 창출 능력을 끌어올리기 건설업체들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등 새롭게 떠오르는 분야로 뛰어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일 '국토교통 분야 산업.직업별 고용현황 조사 및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업 고용계수는 2006년 10.7명에서 2014년 5.9명으로 44.9% 떨어졌다. 보고서는 국토교통부가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올해 작성한 것이다.

고용계수는 해당 산업에서 10억원 규모의 산출물을 만드는데 투입하는 상용.임시노동자를 말한다. 고용계수가 5.9명이면 10억원을 생산할 때 노동자 5.9명이 필요했다는 의미다.


건설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줄어든 1차 원인은 '생산성 향상'이다. 굴착기나 크레인 등 건설기계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필요한 노동자가 과거보다 줄었다. 2차 원인은 경기침체와 외국인노동자의 증가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연구원 연구진은 "건설업은 정부 정책과 경기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면서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재정위기 등 경기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아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고서에서는 건설활동별 GDP 추세를 바탕으로 최근 건설업 취업자 수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공사보다 건물공사나 건물수리공사 등의 증감에 더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이에 정부가 발주하는 대규모 공사를 주된 먹거리로 삼아온 건설업체들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등 새롭게 떠오르는 분야로 뛰어드는 근본적인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연구원 연구진은 "국내건설시장은 1990년대 초고속성장과 1990년대 말 성숙기를 거쳐 현재는 건설투자가 정체한 상태"라며 "국내건설시장은 2020년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수요가 2020년 이후 급증할 것으로 판단되며 저비용 주택 리모델링 시장도 성장할 것"이라며 "공공.주택 신축시장이 축소되고 주택시장은 '고객 맞춤형 소량공급' 형태로 바뀔 것"이라고 설명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