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회적경제 잠재력에 대한 연구 기반으로 공공정책 수립해야"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16 23:35

수정 2018.06.16 23:46

 UN사회개발연구소장  '사회적경제 국제포럼'서 제언
 낙후수영장 사업공간으로 변신한 영국 '블루시티' 소개
영국, 협동조합·사회적기업·사회투자기관 '경제동맹' 구축 
고용부 "우리 정부 1000억규모 사회적경제 전용펀드 조성"
블루시티
블루시티

블루시티
블루시티


"사회적경제의 잠재력과 한계 모두에 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근거를 활용해 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공공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UN사회개발연구소 폴 래드 소장은 15일 '2018 사회적경제 국제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18 사회적경제 국제포럼'이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열렸다. 올해 국제포럼의 주제는 '포용 성장의 동력, 사회적경제'로, 정부 정부 핵심 아젠다인 포용 성장의 실현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과 성장 전략 등 국내외 다양한 사례가 소개됐다.

'사회적경제의 미래비즈니스 전략-사회적경제의 강점과 유망분야'로 진행된 주제로 진행된 토크콘서트에서는 최근 사회적경제 수요가 많고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도시재생, 에너지, 사회적금융 분야의 국내외 청년 활동가·사회적경제기업가 등이 연사로 나섰다.

■낙후된 수영장이 혁신재생기업 공간으로
폴 래드 소장은 "기존 성장모델이 소득 불평등의 심화, 불안정한 일자리,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했고 미래세대의 기회를 빼앗는다는 점에서 포용적이지도, 지속가능하지도 않다"고 지적하며 "유엔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의제 2030`을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적경제 성장을 위해 ▲어릴적부터의 교육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확고히 할 것 ▲사회적경제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 재정을 지원하고 규제를 개편할 것 ▲이윤이 아닌 사회적가치 창출을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사회적경제의 효과성과 성공사례를 적극 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토크콘서트 1부에 소개된 클레너지는 세계 최초로 에너지 협동조합이 생산하는 전력을 교환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파일런 네트워크'를 개발·운영하는 기업이다.

클레너지의 마코스 로마노스 최고운영책임자는 클레너지의 파일런네트워크(Pylon Network)를 통해 현재 스페인 바스크지방에서 진행되는 시범사업 사례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개인과 개인간의 녹색 에너지 거래를 활성화 하는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 대해 소개했다. '파일런 네트워크'은 세계 최초의 재생가능 에너지 교환 커뮤니티로서, 조합원들이 재생가능에너지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P2P 방식으로 스마트 계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녹색 에너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기에 따라 지역 간 에너지 발생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암호 화폐를 활용한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낙후 수영장을 창업공간으로 재탄생해 혁신적 순환경제기업 공간이 된 사례도 나왔다.

랄스 크라마 블루시티 최고영업책임자(CCO)는 버려진 수영장을 재생시킨 공간에서 기업가, 연구자, 지역주민, 정부 등이 참여한 '블루시티'를 소개했다.

랄스 크라마 블루시티 최고영업책임자는 "블루시티에 입주한 25개 기업들은 가죽제품 가공 시 발생하는 자투리 가죽을 재활용하거나 포장 폐기물을 활용해 제품을 만드는 등 각자 배출한 폐기물을 서로의 생산 투입요소로 재활용,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순환경제 모델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순환경제란 폐기물을 재활용해 천연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경제 구조를 말한다.

빈민들에게 담보 없이 소액대출을 제공하는 은행으로 잘알려진 그라민은행의 사이드 모하매드 알람기르 본부장은 "그라민은행은 개인 소액대출 외에 소기업 대출, 극빈자 대출, 대학 학자금 대출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출자 자녀 대상 장학금(매년 2만 7000건 이상)을 통해 방글라데시 농어촌 빈곤층의 빈곤 탈출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라민은행은 외부 지원금, 기부, 차입 없이 자체 재원으로만 운영된다. 현재까지 회원의 68%가 절대 빈곤을 탈출함으로서 농어촌 포용 성장에 큰 기여를 했다게 본부장의 설명이다.

■사회적경제는 '포용 성장' 동력…영국 '사회적 경제동맹' 구축
토크콘서트 2부는 '포용 성장 실현과 사회적경제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에드 마요 영국 협동조합연합회 사무총장은 "사회적경제는 포용적 경제를 견인하는 동력이며, 이로 인해 여러 국가들에서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이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은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위해 기업의 소유구조·혁신·사회적 가치라는 3가지 핵심 요소에 주목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부를 창출하는 포용적 모델을 활성화하기 위해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사회투자기관이 '사회적경제 동맹(Social Economy Alliance)'을 만들어졌다.

에드 마요 사무총장은 "스페인, 이탈리아, 핀란드, 브라질, 스위스도 협동의 가치와 관행이 경제 전반의 포용성을 높이는 '협동조합 효과'를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 납품업체 및 구매기관에 대한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인 바이 소셜 캐나다(Buy Social Canada)의 데이빗 르페이지 공동창립자 겸 디렉터는 "사회적경제의 기반은 단순 화폐 교환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건전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가치 시장(social value marketplace)"이라며 "재화와 용역의 거래가 경제적 자본의 축적이 아니라 지역사회 자본(community capital)의 창출을 위해 이루어질 때 포용적 성장은 실현될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규모나 발전 정도와 관계없이 ‘포용 성장(Inclusive Growth)’의 주역으로 사회적경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사회적경제가 우리사회의 포용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청년의 창업기회를 확대하고, 1000억원 규모의 사회적경제 전용펀드 조성, 공공구매 활성화 등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