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월드리포트

<차이나톡>희토류를 둘러싼 자원전쟁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12 15:13

수정 2018.07.12 15:13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하이테크 제조에 필요한 핵심 재료인 희토류가 재조명받고 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대상 목록에 중국산 희토류를 포함시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렸다. 전자산업이 발달된 선진국들이 희토류 수입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 마당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희토류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는 모험을 감행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산업에 부담이 발생하는 걸 감수하면서 중국산 희토류에 관세부과를 결정한 만큼 중국에 대한 관세부과 의지가 강하다는 걸 반영한다.

실제로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삼아 다른 국가들과 외교갈등 과정에 전가의 보도로 삼았다. 희토류가 4차 산업혁명에 필수 자원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반도체,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풍력 및 태양 발전 등 분야에서는 희토류 사용이 필수다.

그런데 중국이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 희토류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다. 중국은 이같은 경제자원에 대한 독점을 무기삼아 갈등을 빚는 다른 국가들과의 외교 압박용으로 활용해왔다. 지난 2010년 중국이 일본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둘러싸고 벌어진 영유권 분쟁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를 무기로 사실상 일본 정부의 항복을 받아낸 게 대표적인 사례다. 아울러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2012년 세계 공급량 부족으로 희토류 가격이 급등하자 중국의 희토류 수출규제 조치가 부당하다며 세계무역기구(WTO)에 공동 제소한 바 있다.

한국도 중국의 희토류 외교장사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에 최근 남북화해 무드 속에 북한내 매장된 희토류가 주목받기도 했다. 엄청난 규모의 희토류가 북한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남북경협의 바람을 타고 안정적인 희토류 확보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희토류 확보를 둘러싼 현재 구도가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희토류가 매장돼 있다는 걸 알지만 채굴 과정에 방사성 원소가 함께 노출될 뿐만 아니라 정제 과정에 2차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선진국은 개발보다 개발도상국에서 채출과 가공을 마친 자원을 수입하는 형태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도를 넘어서 희토류를 외교전의 무기로 삼을 경우에 대비한 대안들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실제로 중국이 희토류 생산을 대부분 장악하면서 각국마다 희토류 대체재를 찾기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일본은 정부차원에서 주변 심해에서 희토류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도요타는 희토류 없이 전기차용 영구자석을 만드는 기술을 발견했다.
애플도 희토류 대신 재활용 자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jjack3@fnnews.com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