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모바일 신분증’으로 간편 본인증명… 이통사, 갤럭시폰에 탑재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7.14 17:56

수정 2019.07.14 17:56

SKT 주도 블록체인 ID프로젝트.. 삼성전자·KT 가세 총 7곳 서비스
갤럭시에 다운받은 NaDA 이용.. 증명서·아이디 등 하나로 대체
블록체인 통해 철통보안도 구현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자기주권 신원지갑 '나다(NaDA)' 시연 모습 SK텔레콤 제공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자기주권 신원지갑 '나다(NaDA)' 시연 모습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정부 블록체인 시범사업으로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모바일 신분증(자기주권 신원지갑)을 갤럭시 S10 등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에 탑재한다. <본지 6월 3일자 5면 참조>

SK텔레콤을 필두로 LG유플러스, 코스콤,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이 추진 중인 블록체인 기반 아이디(ID)·인증 네트워크 프로젝트에 삼성전자와 KT가 추가로 합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실상 전 국민에 해당하는 국내 이동통신 3사의 가입자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내려받은 자기주권 신원지갑 '나다(NaDA·가칭)'를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 중 필요한 부분만 필요한 곳에 실시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주민번호만 필요하고 주소정보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 주민번호만 가려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 아날로그 주민번호는 선택적 개인정보 제공이 불가능해 과도한 개인정보 노출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또 대학 졸업증명 및 성적·재학 증명서와 회사 재직증명서 등 각종 신분증명은 물론 은행 계좌현황 및 신용등급 등을 실시간 증명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입력해야 했던 각종 아이디·비밀번호 등도 '나다' 하나로 대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통사 채용서류도 전자증명으로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코스콤 7개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공동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전자증명 사업'을 출범한다고 14일 밝혔다. 즉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을 통해서 개인의 신원을 확인·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탈중앙화 신원 확인 시스템(DID)'을 공공·의료·금융 등 일상 속 각종 신원증명 서비스에 접목하는 것이다.

7개사는 지난 12일 사업협약을 통해 전국 주요 대학 제증명(졸업, 성적 증명 등) 발행·유통 서비스와 코스콤의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대상 비상장주식 마켓 플랫폼에 이번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를 우선 적용키로 했다.

또 앞으로 SK, LG, KT 그룹사 신입·경력 채용에 필요한 대학 졸업·성적 증명과 신분증명서 등을 모바일 전자증명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대학을 졸업한 청년이 구직 과정에서 일일이 문서로 제출해야 했던 대학 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를 모바일 전자증명으로 간편 제출할 수 있으며, 해당 기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갤럭시 스마트폰 '철통보안' 책임

7개사는 향후 다양한 업종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해 △각 기업 채용시스템 △사원 증명 기반 모바일 출입통제서비스 △통신 및 금융권의 전자서명 및 비대면 사용자 인증서비스 △병원 및 보험사의 제증명서비스 △골프장·리조트의 회원권 △학생 증명 기반 영화관·놀이공원 할인 △공증·내용증명 △온라인 간편 로그인 등으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 같은 단말기 업체는 별도 보안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삼성 녹스(Knox)' 기반 블록체인 보안기술을 통해 더욱 안전한 신원정보 관리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갤럭시 S10에 탑재된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디앱·dApp)를 이용할 때 반드시 필요한 '개인열쇠(프라이빗키)'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한편 스마트폰 분실 및 해킹을 당할 경우 '삼성 녹스'를 활용해 기능을 정지·복원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이 유력하다.


7개 참여사는 "모바일 전자증명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운영방안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