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복합쇼핑몰 해법 제시한 '스타필드 창원' 사례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08 16:47

수정 2019.10.08 18:19

경남 창원에 신세계가 운영하는 스타필드 창원점이 들어서게 됐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7일 "스타필드 입점을 둘러싼 찬반 공론화 과정이 마무리됐다"며 "시민참여단 의견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시민참여단은 지난 2일 입점 찬성 71%, 반대 25%로 모아진 의견을 전달했다. 허 시장은 더불어민주당 출신으로 당초 스타필드와 같은 복합쇼핑몰이 들어서는 데 반대했다. 하지만 자기 의견을 접고 시민의 다수 의견을 따랐다. 시정 책임자다운 올바른 선택이다.


신세계는 지난 2016년 창원시 중동 일대 3만4000㎡ 부지를 750억원에 사들여 연면적 30만㎡ 규모의 복합쇼핑물을 짓기로 했다. 하지만 상인들이 반발했다. 그 바람에 신세계는 땅을 3년간 놀렸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허 시장은 200인으로 꾸린 시민참여단을 6개월간 가동했다. 그랬더니 입점에 찬성하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왔다. 창원 시민, 곧 소비자들은 스타필드처럼 영화관·놀이공원·쇼핑센터를 두루 갖춘 최신식 복합쇼핑몰을 원했다.

스타필드 창원은 대형 유통점 갈등을 푸는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 지금도 전국 곳곳에선 대형점 입점을 두고 지역 상권과 대기업이 충돌하고 있다. 다 지어놓고 4년째 문을 못 여는 롯데마트 포항 두호점, 첫 삽도 뜨지 못한 서울 상암DMC 롯데쇼핑몰이 대표적이다. 지역 상인들은 흔히 지자체, 정치권과 힘을 합쳐 반대한다. 이때 정작 중요한 소비자의 의견은 '조용한 다수'로 묻히기 일쑤다. 스타필드 창원은 이 같은 관행에 오류가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 국회엔 복합쇼핑몰의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월 2회 의무휴업을 강제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올라와 있다.
복합쇼핑몰과 전통시장을 대체재로 보는 시각은 시대착오적이다. 스타필드가 일요일에 논다고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릴 소비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쇼핑몰에 입점하는 소상공인, 거기서 나오는 일자리도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창원 사례에서 보듯 복합쇼핑몰 정책은 소비자 중심으로 펼치는 게 답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