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장욱희의 취업 에세이] 신산업 교육 등 3040 맞춤 고용 정책 필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1.31 17:40

수정 2020.01.31 17:40

(117) 일자리 줄어드는 3040세대
[장욱희의 취업 에세이] 신산업 교육 등 3040 맞춤 고용 정책 필요
3040세대 일자리 감소폭이 심각하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40대 취업자가 전년보다 16만2000명 감소했다. 특히 중소제조업에서 구조적인 문제로 퇴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작스러운 퇴직을 맞이한 구직자에게는 실직기간이 길어질수록 개인도 사회도 힘들어진다.

필자가 최근 수행했던 3040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표적집단면접법(FGI)을 실시했다. 2019년 11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재직자, 혹은 구직 상태에 놓여 있는 3040세대에게 물어보았다.
그들은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전문가와의 상담, 양질의 맞춤형 일자리 정보제공, 신산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그런데 여기서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근무시간에 받을 수 없다. 또한, 정부나 지자체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해도 자신에게 맞는 정책을 찾기가 어렵다. 경단녀(경력단절여성)의 경우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호소한다.

이들 세대는 SNS에 친숙하고 적극적인 성향을 보인다. 따라서 쌍방향의 소통 채널이 필요했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IT 및 빅데이터, 코딩 교육 등에 관심이 많았다.

조사하면서 놀라웠던 점은 3040세대들은 평생직장이 이미 사라졌고 언제든 자신에게 퇴직, 이직이나 전직을 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당수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3040세대들은 고용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했다. 그들이 고용경쟁력을 높이려 하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지역별 인력 수급 불균형도 심각했다. 노동시장에 양질의 일자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스매칭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교육시스템과 복지가 대기업 못지않은 중소기업이 많다. 따라서 3040세대들에게 괜찮은 중소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와 훈련정보도 함께 한다면 급작스러운 퇴직을 맞이한 이후 실직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조사를 하면서 현장의 목소리와 정부 정책 간에는 괴리가 많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3040세대를 위한 고용 정책과 서비스는 다른 세대와 반드시 차별화돼야 한다.

취업 칼럼니스트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