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정책

"블록체인으로 금융·투자업 혁신 거셀 것…향후 5년내 상용화 가능"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2.12 18:43

수정 2020.02.12 18:58

KDI 각계 설문조사
美 주도하고 있지만 中도 맹추격
韓 법·제도 미비 등 규제 걸림돌
"블록체인으로 금융·투자업 혁신 거셀 것…향후 5년내 상용화 가능"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에 따른 파급 효과가 가장 큰 분야는 금융·투자업계가 될 것이란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4대 시중은행인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 등이 블록체인 등 정보기술(IT) 업체들과 비대면 금융 서비스와 자산 토큰화 등 기술 협업을 강화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 금융권을 비롯해 다른 업종별 대다수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광범위하게 채택하기 위해서는 정부발(發) 규제 불확실성이 사라져야 한다는 여론도 주를 이뤘다.

■금융-신원보증-IoT에 파급효과 커

12일 정부 경제정책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KDI 여론분석팀이 정보기술(IT)혁신기업종사자(225명), 주요 대학 경영학 교수(87명), 대기업(115개), 중소기업(125개), 금융기관(90개) 등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2.3%가 블록체인 도입으로 파급효과가 클 분야로 '금융 및 투자'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전자문서 인증 및 신원보증과 사물인터넷(IoT) 분야가 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18.7%, 12.1%였다.

KDI 여론분석팀은 '블록체인 도입실태 및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탈중앙화를 핵심으로 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인 블록체인은 비트코인(BTC) 외에도 금융·교통·헬스케어·에너지·물류·콘텐츠·공공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가 크다"며 "하지만 다각적인 설문조사 실시 결과, 응답자 중 75.2% 가량은 금융과 같은 특정분야에서 약 5년 후 상용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설명했다.


■"기업 전문성 갖추도록 지원 필요"

KDI 설문조사 응답자 중 69.3%는 현재 미국이 전 세계 블록체인 기술을 주도하고 있다고 진단했으며, 향후 5년 내 미국과 함께 중국이 블록체인 강국으로 부상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블록체인 기술 및 경쟁력 수준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이 블록체인 기술 및 경쟁력이 뒤처진 이유로는 응답자 중 47%가 법·제도 미비 등 규제를 꼽았으며, 전문 인력은 물론 관련 교육과 사회인식도 부족하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설문 응답자 중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약 80%는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역시 응답자 중 절반가량이 블록체인 도입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특히 금융기관은 블록체인 도입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 △성과창출의 불확실성과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부족을 꼽았다.
이와 관련 KDI 여론분석팀은 "정부는 글로벌 블록체인 경쟁에 대비하여 관련 연구개발 예산을 투입하고 시범사업도 진행 중이지만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 기업들은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블록체인 도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또 규제 역시 블록체인 기술도입 및 성장을 가로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제기된 만큼, '핵심 원천기술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정부 예산 투입에 앞서 기업들이 블록체인에 대한 전문성과 지식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