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피플일반

[fn이사람] "'닥쳐오는 미래' 아닌 '원하는 미래'로 국민을 안내하겠습니다"

김주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5 14:27

수정 2020.03.05 15:07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
[파이낸셜뉴스] 대한민국 국회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당면 현안에 숨가쁘게 흘러간다. 당장 오늘 닥친 일에 쉴 새없는 국회 안에서도 긴 호흡으로 대한민국을 그려가는 곳이 있다. 바로 국회미래연구원이다.

미래연구원은 지난 2018년 5월 출범해 개원 2주년을 향해가고 있다. 여전히 대중들에게는 미래연구원과 미래학 자체가 생소한 개념이다.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은 "미래학이란 현실과 동떨어진 미래가 아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미래를 예측하고 선호를 밝혀서 그 길로 가는 전략을 짜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
말 그대로 '닥쳐오는 미래'가 아닌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일'이다.

미래연구원은 사회, 경제, 사회복지, 보건에서부터 물리, 생명공학 등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전공의 박사 17명과 석사, 행정직원 등 모두 30명의 적은 인원이 꾸려가고 있다. 박 원장은 "한정된 인원으로 원을 꾸려나가다보니 박사 한 명이 정부출연연구기관 수 개를 담당하는 등 연구진들이 '일당백'의 몫을 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연구원의 주 임무는 각 연구를 국회에 보고해 입법 과정이나 정책에 혜안을 제시하는 일이다.

박 원장은 "1년에 두 차례 정도 국회 상임위원회 수요조사를 반영해 연구 주제를 정한다"면서 "연구진과 원장이 연구과제를 결정하고, 이사회에서 확정해 국회의장과 국회운영위원회에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역시 국회의장과 운영위에 보고한다.

박 원장이 가장 어려움을 느낄 때는 미래연구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의심받을 때라고 한다. 그는 지난해 원 출범 1주년 기념식에서도 "돌잡이를 한다면 중립성을 잡겠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원 출범배경을 살펴보면 그런 오해는 불식될 것"이라며 "미래연구원 설립을 처음 계획한 건 전전임 의장인 정의화 국회의장과 박형준 당시 사무총장"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두 분이 미래연구원 설립을 구상한 건, 국회 내 당면 현안을 두고 여야 정쟁이 너무 심한데 미래에 대해 장기적인 시야를 가진다면 여야간 합의도 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취지에서다"라고 말했다.

이에 정의화 전 의장이 미래연구원 설립법을 만들었고 그 뜻을 정세균 전 의장이 이어받아 국회에서 해당 법이 통과됐다. 이후 원을 실제로 활용하기 시작한 건 문희상 국회의장이다.

그는 "이처럼 미래연구원의 지금이 있기까지는 세 분의 국회의장의 공헌이 있었다"면서 "정파성이 없는 중립적인 연구기관인데, 여전히 잘 모르시는 의원들의 오해가 있어서 예산을 깎아야한다는 등 목소리가 나온다"고 토로했다.

미래연구원은 지난 2018년 '2050년에서 보내는 경고'라는 제목의 연구를 통해 미래연구의 필요성을 알렸고, 작년에는 어떤 미래로 가고 싶고 이를 위해 무엇을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해 집중 연구했다.

박 원장은 "올해 핵심 연구과제는 모든 정책을 펴는 기본 이유인 '국민행복사업'과 '21대 국회를 맞은 국가 거버넌스 재정비'"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도 미래를 예측하고 국민이 원하는 미래를 제시하는 일을 쉼없이 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ju0@fnnews.com 김주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