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코로나 장세, 개미털기 그만

최두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9 16:55

수정 2020.03.09 16:55

관련종목▶

[기자수첩] 코로나 장세, 개미털기 그만
"씨젠의 이틀 연속 상한가로 공매도 세력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

코스닥 상장기업 씨젠은 코로나19 사태 속 빠른 진단키트 공급이 부각되며 지난 6일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단기테마 수급이라고 판단한 기관투자자의 공매도 물량이 몰리면서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됐지만 9일에도 상한가에 거래되며 우려를 불식했다.

최근 주식시장은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른 패닉 현상으로 이른바 '코로나 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주목할 점은 외국인, 기관투자자와 상반되는 개인의 매수 흐름이다. 변동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연일 매도 폭을 확대하고 있지만 개인은 연속 순매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에 임하는 태도의 차이다. 대부분 투자자의 돈을 운용해주는 외국인과 기관 입장에서는 리스크가 커지면 팔 수밖에 없다. 기관은 로스컷(loss cut) 기준을 정해두고 주가가 하락하면 손절매에 나선다. 환매 요청도 대규모 매도세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개인은 저가매수 기회라고 판단, 매수에 나선다.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외국인, 기관과 달리 개인은 이전 가격이 주된 판단기준이 된다.

문제는 내부자 정보를 악용해 공매도에 나서는 경우다. 기관 공매도 중 내부거래를 통해 부정적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공매도에 집중해 수익을 보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전혀 모르고 저가매수에 나선 개인들은 손실을 볼 수밖에 없다.

씨젠의 이날 상한가로 공매도 세력은 이미 '숏 커버링(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행위)'에 나섰을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형적 테마주로 인식해 잔꾀를 냈지만 급등세로 차익을 얻지 못하자 처분에 나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금융감독원은 공매도 가능종목을 일정 기준에 따라 지정하는 '공매도 가능종목 지정' 제도 도입을 협의하고 있다. 시장 일각에서는 공매도 규제가 이미 강한 편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시급한 것은 금융당국이 적어도 내부자 정보를 악용한 공매도 물량을 적극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는 점이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증권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