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항공분야 추가 지원책 곧 발표…고사 위기 업계 숨통 트일까

뉴스1

입력 2020.03.16 05:15

수정 2020.03.16 05:15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한산한 모습의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체크인 카운터. (뉴스1 DB) 2020.3.1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한산한 모습의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체크인 카운터. (뉴스1 DB) 2020.3.1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대책본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3.15/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대책본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3.15/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에 대한 추가 지원 방안을 조만간 발표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업계가 요구하는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얼마나 담길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6일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전 세계적으로 한국발 입국 제한 조치가 늘어나고 있어 항공사별 자구책만으로 위기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국적 항공사들의 국제선은 사실상 '셧다운' 상태다. 2월 국제선 여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47% 줄었다.


3월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하늘길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전달과 비교해 여객 수 감소세가 더욱 가파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 이달 1일부터 14일까지 인천국제공항 기준 출·도착편은 각각 2932편, 3001편이다. 지난해(7633편, 7639편)와 비교하면 각각 61.6%, 60.8% 감소한 수치다.

항공업계가 당장 지출이 필요한 공항시설사용료 납부에 대한 감면과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배경이다. 지금과 같은 사태가 이어진다면 우리 항공업계가 상반기에만 5조원 넘는 매출 피해를 입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태가 악화하자 정부는 전날(15일) 항공업계에 대한 추가 지원 방안을 곧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항공업계는 2월부터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유·무급 휴직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최대 항공사인 대한항공 역시 우기홍 사장이 직접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할 정도다.

저비용항공사(LCC)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LCC의 주 무대인 일본과 중국, 동남아 등 단거리 노선은 대부분 봉쇄된 상황이다.

특히 업계의 가장 큰 고심은 항공기를 공항에 세워둘 때 내야 하는 주기료다. 운항 중단 및 노선 단축에 따라 멈춰 선 항공기가 그만큼 늘고 있다. 기종별로 다르지만, 많게는 한 달에 수억원에 이른다. 매출 급감에 이어 이중고에 시달리는 셈이다.

주기료를 포함해 리스료 등 매달 지출하는 고정비가 증가하고 있다. 업계는 한 달여 만에 들려온 추가 지원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이 얼마나 담길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17일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LCC에 대해 산업은행의 대출심사절차를 거쳐 최대 3000억원 내에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긴급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지원책에는 공항시설 사용료 3개월 납부 유예 등도 포함됐다.

하지만 업계를 중심으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책이라는 불만이 제기됐다. 항공사의 신용등급이나 담보 상황에 따라 산업은행의 대출 지원이 불가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6개사 LCC 사장단은 지난달 28일 공동 건의문을 내고 무담보·장기 저리 등 조건을 대폭 완화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공항 사용료 등에 대한 전면 감면 조치와 항공기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의 감면, 고용유지지원금 비율의 한시적 인상 등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항공사 사장단은 정부 관계자와 만나 의견을 전달했다. 하지만 지원책 발표가 늦어지며 항공업계의 위기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책 이후 한 달 가까이 지나면서 존망을 걱정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추가 지원책은 무엇보다 업계의 현실적인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내용들이 담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