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보험

'IFRS17 도입 연기' 희소식에도 못 웃는 보험사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18 18:00

수정 2020.03.18 18:00

시스템 안정화 등 시간 벌었지만
제로금리에 자본조달 부담 가중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시기가 오는 2023년으로 1년 연기되면서 자본확충이 필요했던 보험사들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하지만 제로금리 시대 도래로 투자이익 감소와 역마진에 직면한 보험사, 특히 생명보험사들은 향후 자본조달 압박이 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17일(현지시간) 정례회의를 열고 IFRS17 시행 시기를 2022년 1월 1일에서 2023년 1월 1일로 1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이사회 14명의 위원 중 12명이 도입 연기를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에 앞서 이사회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한 '스태프 페이퍼'에서 IFRS17 도입을 2023년으로 1년 연장하는 방안이 담겨 있어 IFRS17 도입 연기는 예상됐었다.

IFRS17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보험금을 계약시점의 원가가 아니라 매 결산기 시장금리 등을 반영한 '시가'로 평가하는 게 핵심이다.
과거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많이 판매했던 보험사들은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면 보험부채가 수십조원 규모로 불어난다. 또 초저금리 상황에선 부채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더 늘 수밖에 없다. 이에 회계기준이 변화하면 기존 회계방식 대비 인식되는 부채 규모가 커지는 탓에 적정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보험사들은 자본확충을 해야 한다.

IFRS17 도입이 1년 늦춰지면서 국내 보험사들은 당장 자본조달의 부담은 덜었다. 보험사들은 여유를 가지고 자본확충 계획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인력과 자본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형 보험사들은 전산시스템 교체 등 IFRS17 도입 대비 준비시간도 벌 수 있게 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이 1년 연기된 것과 관련, "시스템의 안정화 기간 확보 및 자본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당국과 업계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시간이 생긴 것"이라면서 "각사별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보완 및 안정화 작업을 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제로금리 시대를 맞은 현 상황에서 IFRS17 도입 1년 연기만으로는 현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업계에선 IFRS17 도입에 따란 자본확충의 부담보다 지속적인 저금리 기조 속에 제로금리로 인한 자본조달 압박이 더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에 따른 자본확충 부담보다 제로금리 시대에 접어들면서 역마진과 투자이익 감소에 따른 자본조달 압박이 더 크다"면서 "더욱이 금리인하가 지속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보험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