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민주·시민-통합·한국..합당 시점은?

송주용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16 15:38

수정 2020.04.16 15:38

당초 총선 직후 통합 논의 예정
예상 뛰어넘는 여당 압승으로 통합 시기 재논의
민주, 국정운영 주도권 강화 전략 고민
통합, 21대 국회 원구성 협상력 제고 초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앞줄 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지도부와 더불어시민당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 마련된 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개표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앞줄 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지도부와 더불어시민당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 마련된 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개표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4.15 총선 뚜껑을 열어보니 전체 253개 지역구 의석은 더불어민주당 163석, 미래통합당 84석, 정의당 1석, 무소속 5석으로 결정됐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47석의 비례대표 의석은 미래한국당 19석, 더불어시민당 17석, 정의당 5석, 국민의당 3석, 열린민주당 3석이다. 다당제 구현 등을 위해 첫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제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거대 양당이 주도한 비례위성정당이 전체 의석의 76.5%를 싹쓸이하면서 오히려 거대 양당구조만 고착화됐다.

사상 유례없이 범 여권 의석수가 180석을 넘어 190석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개헌만 빼고는 입법, 인사, 예산안 단독 처리권한을 사실상 장악한 셈이다.

특히 위성정당인 시민당과 한국당의 경우 각각 '본가'인 민주당과 통합당과의 합당 시점이 주목된다.

당초 비례용 양당 모두 '총선 종료 후 즉시 통합'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만큼 문재인 정부 국정 후반기 뒷받침과 코로나19 사태 대응,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합당을 서두를 것으로 전망된다.

합당 방식은 시민당에 참여한 군소정당을 제명 등의 방식을 통해 본래의 자리로 돌려보낸 후, 남아 있는 시민당 조직을 민주당과 통합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최배근 시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선거 종료 후 소수 정당은 자기 당으로 돌려보내고 나머지는 민주당과 통합한 뒤 시민당은 해산한다"는 로드맵을 밝혔다.

다만 최종 합당 시점은 양당 지도부 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당간 합당 없이도 원내1당은 물론 단독으로 과반의석을 차지한 만큼, 향후 국정운영을 주도하는데 더 유리한 전략을 고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범여권 비례정당인 열린민주당과의 합당이나 연대는 요원한 상태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가 시민당에 힘을 실어준 발언이나 선거운동 전략 자체가 두 당이 하나라는 것을 보여 준 것"이라며 "열린민주당과의 관계는 민주당과 시민당이 수 차례 선을 그은 바 있다. 선거 과정을 거치면서 합당이나 연대는 더 어려워진 것 같다"고 말했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와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앞 줄 왼쪽 첫 번째, 두 번째) 등 양당 지도부들이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강당에 마련된 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개표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와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앞 줄 왼쪽 첫 번째, 두 번째) 등 양당 지도부들이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강당에 마련된 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개표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반면 통합당과 한국당은 합당절차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양 당이 통합해도 103석으로, 개헌 저지선인 100석을 겨우 넘긴 만큼 조속한 합당을 통한 '전열 재정비'에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선거 전부터 공언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 및 검경수사권조정안 폐지, 경제정책 대전환 등의 목표는 사실상 달성이 어렵게 됐지만 최소한의 정권 견제를 위해선 가급적 많은 의석 수 확보가 필수다.

특히 오는 5월30일 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되면 상임위원장 배분 등 본격적인 원구성 협상에 나서야 하는 만큼, 최대한의 의석수를 확보해 협상력을 높여야 하는 점도 신속한 합당 추진의 배경으로 꼽힌다.


다만 낙선한 황교안 대표가 즉각 사퇴를 했고 심재철 원내대표도 여의도 재입성에 실패하면서 사실상 당내 리더십이 공백 상태에 빠진 만큼 양당 간 합당을 추진할 동력을 상실해 합당 시점이 다소 늦춰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