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탈원전 정책 폐기해야 두산重 살린다

강구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27 18:17

수정 2020.04.27 18:17

[기자수첩] 탈원전 정책 폐기해야 두산重 살린다
두산중공업에 코로나19 사태는 위기의 '트리거(방아쇠)'였을 뿐이다. 문재인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수주가 끊기면서 이전부터 기업의 존망이 위태로운 상태였다. 한국수출입은행이 5억달러(약 5868억원) 규모의 외화채권을 대출로 전환하는 등 정부의 지원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두산중공업의 차입금 가운데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은 회사채 1조2500억원, 국책은행 대출 1조1000억원, 시중은행 7800억원, 외국계 은행 3600억원, 기업어음(CP)·전자단기사채 등 7000억원 등 모두 4조2000억원이다. 돈을 퍼부어 두산중공업이 살아나면 좋겠지만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 두산그룹이 수은에 전달한 자구책에는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아온 두산솔루스와 기존 두산건설, 두산모트롤 매각안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를 저당잡힌 만큼 정부 지원이라는 산소호흡기를 떼면 죽을 수 있는
[기자수첩] 탈원전 정책 폐기해야 두산重 살린다
'중환자' 신세인 셈이다.

위기의 징후는 이전부터 포착됐다. 지난 24일 기준 두산중공업 주가는 3750원으로 쪼그라들었다. 2009년 11월 12일 8만3007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투자자에 대한 신뢰를 찾기는 요원하다.

지난해 2·4분기 은행들의 부실채권(NPL) 매각에서 원전 부품을 만드는 공장이 나온 것도 관련 생태계 붕괴를 보여준다. 지난해 12월에는 원전 핵심부품인 셸(shell)을 만드는 국내 1위 업체 에스에이에스가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두산중공업의 위기가 고용위기로 번져서야 정부는 국책은행을 통한 수혈 카드를 꺼냈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일 뿐이다. 지금 두산중공업에 필요한 것은 재무지원이 아닌 탈원전 정책 폐기다. 정부는 지난 2017년 전면 백지화된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을 재개하든지, 두산중공업을 포기하든지 양자택일해야 한다.


정부가 애정을 보인 태양광산업은 넥솔론, 한국실리콘, 웅진에너지가 무너져버렸다. OCI, 한화솔루션도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사업을 포기했다.
태양광 수혜는 중국 업체들이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정부는 원전산업을 죽이고 무엇을 얻고 싶은가.

ggg@fnnews.com 강구귀 증권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