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성장 멈출라' 플랫폼 스타트업 시름

박소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02 18:20

수정 2020.06.02 18:20

기존 산업 편드는 규제 '큰 부담'
코로나 19 확산·장기화 여파로
광고료·수수료 인하 압박 커져
플랫폼 스타트업들이 고민에 빠졌다. 이용자의 편의성을 주무기로 새로운 시장을 만들며 매년 두배 가까이 성장을 거듭한 플랫폼 선두 스타트업이 코로나19 장기화 변수와 광고료나 수수료 인하 요구를 받으면서 성장성이 흔들리고 있어서다.

문제는 플랫폼 스타트업이 성장의 한 축인 파트너사를 위해 광고료를 낮추는 상생 정책을 지속적으로 내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의 화살을 기업에게 향하면서 플랫폼 기업의 존재가치까지 부정하는 데 있다. 중재자 역할을 해야할 정부나 정치권은 혁신성장과 유니콘 육성을 정책으로 추진하면서도 신산업과 기존 산업이 갈등을 겪으면 기존 산업 편에 서서 규제 압박을 가하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플랫폼 스타트업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비즈니스 모델(BM)인 광고나 수수료 인하 요구를 잇따라 받고 있다. 배달의민족이 지난 4월 1일 월정액 광고를 주문건별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려다 정치권의 뭇매를 맞고 백기 든 채 원상복구 한 것이 시발점이 된 양상이다.


이후 야놀자, 카카오모빌리티 등에게 광고료나 수수료가 비싸다는 원성이 나오고 있다. 야놀자는 결제대행수수료를 포함한 약 10%의 수수료와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300만원의 광고료를 받고 있는데 이 중 광고료를,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형 플랫폼택시 수수료 20%를 낮추라는 요구를 파트너사로부터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코로나19 확산과 장기화가 불씨를 당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가뜩이나 어려운데 광고료나 수수료가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플랫폼 기업은 오프라인의 사업자와 온라인의 이용자를 플랫폼에서 연결하고 광고료나 수수료를 통해 매출을 낸다. 광고료, 수수료를 내는 파트너사가 많고 돈을 많이 벌수록 플랫폼 기업도 성장하는 구조다. 반대로 파트너사가 어려움에 처하면 플랫폼 기업의 성장성도 꺾인다는 의미다.

코로나19로 일부 언택트(비대면) 업종을 제외하고 플랫폼 스타트업도 보릿고개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광고료나 수수료를 없애거나 더 내리라는 것은 '성장을 포기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게 이들의 처한 딜레마다.

물론 온·오프라인연계(O2O) 스타트업은 지난해까지 배달, 숙박 및 여가, 모빌리티(이동) 시장을 키우며 적어도 매년 70~80%씩 외형 성장을 지속했다. 다만 국내 사업자 뿐만 아니라 해외 사업자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출혈도 불사하면서 영업적자인 곳도 많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도 지난해 매출 5000억원을 넘겼지만 364억원을 적자를 냈다. 야놀자의 경우 지난해 본사 매출은 1514억원, 영업이익은 15억8000만원으로 겨우 흑자전환했다.


신사업과 구산업이 충돌할 때마다 '그깟앱이 무슨 4차 산업혁명이냐'와 같이 플랫폼 기업의 본질을 부정하는 인식이 만연한 데다 정치권과 지자체가 편가르기에 앞장서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우리나라는 플랫폼 산업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라면서 "플랫폼이 이용자를 연결해주는 허브 역할을 하기 위해 투입된 인건비, 개발비, 운영비, 인프라비 등 제반비용을 모두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준상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코로나 상황에서 정부가 신음하는 소상공인을 나몰라라 하기 어렵다"면서 "플랫폼 기업과 연결된 영세한 소상공인, 자영업자에게 적극적인 재정집행으로 지원하고 선제적으로 수수료를 인하하는 기업에게는 세제혜택 등 당근을 주면 명분과 실리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