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개점휴업' 남북연락사무소…1년 9개월 만에 폐쇄 위기

뉴스1

입력 2020.06.06 11:13

수정 2020.06.06 11:18

남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가 해소될 때까지 개성연락사무소 운영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가운데 30일 오후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에서 개성 인력사무소에 체류하던 남측 인력들을 태운 차량이 빠져나오고 있다. 2020.1.30/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남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가 해소될 때까지 개성연락사무소 운영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가운데 30일 오후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에서 개성 인력사무소에 체류하던 남측 인력들을 태운 차량이 빠져나오고 있다. 2020.1.30/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남북 정상 간 합의로 개소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연락사무소)가 1년 9개월 만에 폐쇄 위기에 놓였다.

북한의 대남 기구인 통일전선부는 전날인 5일 밤늦은 시간에 대변인 담화를 내고 연락사무소의 '철폐'를 언급했다. 지난 4일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의 담화에 이어 대북 전단(삐라) 살포 문제에 대한 구체적 대응 조치를 언급한 것이다.

담화에서 북한은 "할 일도 없이 개성공업지구에 틀고 앉아 있는"이라고 연락사무소의 기능에 대해 회의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지난 4일 김 제1부부장의 명의로 발표된 담화에서도 북한은 연락사무소를 언급하며, 폐지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당시 김 제1부부장은 "분명히 말해두지만 또 무슨 변명이나 늘어놓으며 이대로 그냥 간다면 그 대가를 남조선 당국이 혹독하게 치를 것"이라며 "그것이 금강산 관광 폐지에 이어 개성공업지구의 완전 철거가 될지,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폐쇄가 될지 있으나 마나 한 군사합의 파기가 될지 하여튼 단단히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락사무소는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합의되고 같은 해 9월 14일 문을 열었다. 남북 인원이 한 공간에 상주하는 연락 채널이 구축된 것은 처음으로, 향후 남북 대표부로 진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2018년에는 남북 당국 간 회담도 연락사무소에서 열렸다. 그러나 지난 2019년 2월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관계도 경색돼 연락사무소의 기능도 다소 축소됐다. 북한은 2019년 3월 연락사무소에서 일방적으로 철수했다가 수일 만에 복귀하기도 했다.

그러다 올해 초인 1월 1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연락사무소는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개성에 상주하던 남측 인력도 모두 복귀했다. 연락사무소의 대면 운영이 중단되면서 '서울-평양' 간 직통 전화선과 팩스선이 소통을 대체했다.

남북은 평일 업무일 기준으로 업무 개시와 마감 통화를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에 해 왔다. 통일전선부가 연락사무소의 '철폐'를 언급하기 직전인 5일 마감 통화까지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6일 "전날인 5일 오후(마감) 통화까지 정상적으로 교신이 이뤄졌다"면서 "휴일인 오늘은 정상 교신을 하지 않으나, 비상연락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날 비상연락근무 체계는 휴일에 매번 해 오던 것으로 북측의 최근 담화 발표 등과는 상관이 없다고 덧붙였다.

개소한지 약 1년 9개월 만에 북한의 경고대로 연락사무소가 사실상 '폐지'가 된 다면 정부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남북관계의 진전의 상징으로 상시 소통 채널이 개설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북한이 김 제1부부장의 담화에서 언급한 개성공단 철거와 연락사무소 폐쇄, 남북군사합의 파기 중에서 연락사무소 문제를 먼저 언급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개성공단 철거와 군사합의 파기는 '돌이킬 수 없는' 조치임에 비해 연락사무소의 폐쇄는 정치적 결정에 따라 언제든 복구가 가능한 문제라는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