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디지털을 입히자

강재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28 16:25

수정 2020.06.28 16:25

[차관칼럼]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디지털을 입히자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디지털 경제로 대전환이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둘러싼 소비·유통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획일화된 제품과 공급자 위주의 서비스로는 더 이상 소비자의 흥미를 끌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모바일을 몇 번만 터치하면 상품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가격비교를 통해 구매하면 당일 배송까지 받을 수 있게 됐다. 오프라인에서 느끼지 못했던 소비자 우위와 편리함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층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 한 달 동안 온라인 판매는 12조원으로 국내 소매의 26%를 차지했고, 그중 모바일 판매는 8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작년동월 대비 각각 12.5%, 18.4% 증가해 주요한 소비·유통 채널로 자리 잡았다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자본과 기술력을 앞세운 대기업·프랜차이즈 등을 중심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과 결제가 이뤄지고, 로봇이 커피를 만들고 서빙하는 상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소상공인의 디지털화가 지연될수록 이들과 서비스 격차가 심화되는 등 근본적인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에 의하면 55세 이상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전 국민의 64.3%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의 평균연령이 54세이며 이 중 60세 이상이 26%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경우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적 배려는 매우 시급한 과제다. 이에 정부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디지탈 전환을 위한 지원정책을 세 가지 방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첫째, 소상공인 사업장에 스마트오더와 스마트미러, 3D 스캐너 등 스마트기술을 도입해 서비스 개선과 경영 효율화를 지원한다. 금년에 소상공인 점포가 모여있는 상점가 중 100여곳을 스마트시범상가로 지정해 스마트기술을 집중적으로 보급하고 앞으로 전국 주요 상점가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음식점이 밀집된 상점가는 스마트 앱을 통해 예약·주문·결제가 가능한 스마트오더를, 의류상가는 스타일링이나 피팅을 편리하게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미러를, 수제화 거리에는 맞춤형 신발을 제작할 수 있는 3D 스캐너를 보급하는 등 상점가 특성에 맞는 스마트기술 도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코로나19 이후 일상화된 비대면 소비환경에 대응,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권정보시스템을 소상공인 빅데이터플랫폼으로 발전시켜 POS데이터·날씨·온라인구매정보·유동인구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AI 기술을 활용해 매출 예측뿐만 아니라 상권별 유망업종, 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예비창업자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상권과 업종을 선택할 수 있고,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데이터 기반 경영 효율화를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능력 확보를 위한 교육을 강화한다.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오프라인 위주의 단순 창업교육에서 온라인 창업,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창업 중심으로 개편했고, 공덕동 드림스퀘어에 스마트상점 모델샵을 구축해 소상공인이 최신 스마트기술을 직접 경험하고 시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소비·유통 디지털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않는다면 경영여건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디지털을 입혀 디지털 시대의 주역이 되도록 육성해 나가고자 한다.

강성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