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가덕 국제신공항'만이 유일한 답

노주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01 18:33

수정 2020.07.01 18:33

[특별기고] '가덕 국제신공항'만이 유일한 답
부산권 신공항 검토가 시작되던 30년 전인 1990년이 기억난다. 인천공항은 그동안 날로 성장의 길로 나아가고 있지만 동남권 신공항은 정치인들의 이해관계와 지역 간의 갈등 속에 흔들린 채 중앙정부 힘에 밀리고 있는 상태다.

지난 2016년 6월 박근혜 정부가 발표한 기형적인 김해공항 확장안 때부터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타당성 조사, 안전성, 소음, 부적격한 활주로, 공항의 기능성 등 문제점 논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동남권 지역 갈등 문제, 지방정부(부산시) 대체능력 부재 등으로 확대되더니 이제는 중앙정부 무관심으로 이어져 시간적인 허비와 재정적인 소모로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정권이 바뀌면서도 혼란스러운 논쟁 또는 정치권 정쟁 등으로 오직 동남권 공항 필요성과 기술적인 검토는 뒷전에 밀리고 불필요한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남권 지역은 해양, 조선, 국가 기간 산업체 중심지로 발전해가고 있다.
미래 지향적인 백년대계를 바라볼 수 있는 체계적인 해양항만도시에 부합할 수 있을 정도의 도시국가로 나아가야 한다. 에코델타시티 등 서부산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메트로시티 한가운데 있는 공항은 분명히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800만명의 동남권 주민은 편리한 생활권, 평등한 경제활동을 보장받아야 한다. 동남권 신공항은 육상·해상이 함께 어울려지는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중심 도시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앙정부는 이제는 더 이상 동남권 신공항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국가 균형 발전과 공정하고 평정한 경제적인 활성화를 우선적으로 적용해 결단을 촉구한다.

동남권 신공항 타당성을 검증에서 재검증으로, 차선책에서 차악의 대안으로 악순환되면서 국가 항공정책 신뢰성만 바닥에 추락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제는 남부권 항공운송 수요를 분담하고 24시간 이착륙이 가능해 동남권 허브공항 역할을 담당할 '가덕 국제신공항' 건설이 국가 미래와 남부권 지역 성장을 바라보는 뉴항공정책의 마지막 선택이다.

김진용 前 부산광역시의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