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녹색금융으로 그린스완 위기 대비하자

오은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30 17:50

수정 2020.07.30 17:50

[특별기고] 녹색금융으로 그린스완 위기 대비하자
그린스완은 국제결제은행(BIS)에서 이름을 지은 신조어다. 기후변화로 일어나는 경제의 파괴적인 위기를 뜻한다. 미국 경영학자인 나심 탈래브가 제시한 '블랙스완'(예기치 못한 경제위기)을 빗댄 말이다. 국제결제은행은 올해 1월 '그린스완:기후변화 시대의 중앙은행과 금융안정'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5월에는 '그린스완2:기후변화와 코로나19'라는 후속 보고서를 내놨다. 이들 보고서는 기후·환경의 변화가 재해와 전염병 등을 자주 일으키고, 경제와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금융시장은 기후환경 변화로 인한 금융위기에 주목하고 있다. 예컨대 기후변화로 대규모 홍수나 산불이 일어나면 집을 담보로 하는 장기 모기지론은 부실위험이 커진다. 금융시장은 이런 기후환경 위기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단적인 예가 7조달러를 운용하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 블랙록이다.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투자자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에서 "환경 변화가 경제를 뒤바꾸고 있다"면서 "투자자들은 금융에 대한 핵심 가정을 기후위험을 고려해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린스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의 지속가능 투자액은 2018년 약 31조달러로 2016년 대비 약 25% 증가했다.

그린스완의 바람이 세계 각국을 휩쓸고, 세계 여러 나라의 정부 역시 기후환경 위기를 대비하는 녹색금융에 주목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지난해 말 지속가능한 투자에 대한 자금유입, 기후환경으로 인한 금융위기 관리, 장기적 금융전망 구축이라는 3가지 목적 아래 10개의 지속가능 금융행동계획을 발표했다. 영국도 녹색금융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7월 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디지털·그린뉴딜로 이뤄진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고, 핵심과제로 녹색금융 추진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녹색금융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약 1조9000억원의 융자를 확대하고, 우수한 환경 기술과 사업에 투자하는 2150억원 규모의 그린펀드를 조성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우리 정부는 그린스완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녹색금융 제도를 준비하고 있다. 우선 경제활동의 녹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녹색 분류체계(Taxonomy)를 마련해 다양한 녹색금융 제도 추진을 위한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녹색금융의 중요한 상품 중 하나인 녹색채권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관련 제도를 다듬고 있다. 환경적으로 우수한 기업에 자금이 쏟아질 수 있도록 기업의 환경성 평가를 골자로 하는 환경책임투자 안내서도 준비하고 있다.

올해는 호주에서 큰 산불이 나고 중국에서 대홍수가 발생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세계 각국은 이런 기후·환경 위기 속에서 이를 대비하는 녹색금융 시장의 선점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백조는 백(白)이라는 한자에서 보듯 누구나 흰색이라고 알고 있다. 검은색이나 초록색 백조는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블랙스완(검은색 백조)은 17세기 말 호주에서 발견됐고 당시 유럽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다.
이제는 그린스완(녹색백조)도 나올 수 있다고 봐야 한다. 환경부는 그린스완으로 불리는 예측하기 힘든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위기 속에서 세계 경제를 선도하고 녹색금융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

※본면의 외부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