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집값 민심에 靑수석 3명 물갈이… 노영민은 남았다

김호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10 18:04

수정 2020.08.10 19:30

문 대통령, 일부만 교체
정무수석 최재성
민정수석 김종호
시민사회수석 김제남
왼쪽부터 최재성 정무수석, 김종호 민정수석, 김제남 시민사회수석
왼쪽부터 최재성 정무수석, 김종호 민정수석, 김제남 시민사회수석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최근 사의 표명 뒤 이날 유임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최근 사의 표명 뒤 이날 유임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부동산 논란'으로 촉발된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 7일 '집단 사표'를 제출했던 6명 중 정무수석과 민정수석,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을 동시에 교체했다. 관심을 모은 대통령 비서실장은 일단 유임됐다.

■6명 중 3명 우선 '교체'
문 대통령은 10일 신임 청와대 정무수석에 최재성 전 국회의원(4선)을 내정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새 민정수석에는 김종호 감사원 사무총장, 시민사회수석에는 김제남 청와대 기후환경비서관을 발탁했다. 3명의 신임 수석은 오는 11일 공식 임명될 예정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집단 사표 제출 3일만에 참모진 개편을 단행하며 신속한 수습에 나섰다. 부동산 정책 실패와 청와대 참모진들의 다주택 논란에 따른 급격한 민심 이반을 차단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사의를 표명했던 노영민 비서실장과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김외숙 인사수석은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국정 공백과 후임자 물색 등을 감안할 때 일괄 수용 보다는 순차적인 교체 차원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다만, 인적 쇄신이 부동산 대책에 대한 불만과 청와대 다주택자 논란으로 급격히 악화된 여론을 효과적으로 잠재울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직 대신 집을 선택했다', '조기 레임덕'이라는 여론의 부정적 시각이 여전하고, 쇄신 규모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지난 3~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252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는 43.9%로 전주 대비 2.5%p 내렸다. 이번 조사가 참모진들의 집단 사표 소식이 전해진 지난 7일도 포함한다는 점에서 여론의 호응도가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5만5923명에게 접촉해 4.5%의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3기 청와대 및 개각 속도붙나
이번 참모진 개편으로 '3기 청와대'의 구성 및 개각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3기 청와대' 개편은 당초 올해 연말께로 예상됐지만 8수석 중 3수석이 교체되면서 자연스럽게 앞당겨지는 모양새를 띄게 됐다.

청와대는 일단 후속 인사에 대해서는 함구하는 모습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후속 인사 여부에 대해 "오늘 말할 수 있는 것은 발표 내용까지다"라며 "인사는 대통령인사권에 관한 사안이기 때문에 이 자리에서 답변드리기 곤란한 점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고만 했다. 남은 3명의 참모에 대한 문 대통령의 당부 등에 대한 질문에도 극도로 말을 아꼈다.

3기 청와대 구성은 부처 개각과도 맞물려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참모진 개편이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지면서 개각 시기와 폭 등에 대해 가늠하기가 어려워졌다"면서도 "참모진 개편과 개각은 연동되어 가는 것이 맞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여권에서는 이른바 '장수 장관'들을 중심으로 향후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현 정부 원년 멤버이며,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도 약 2년 가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강 장관을 제외하고는 교체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 향후 개각폭이 '중폭 이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