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巨與 독주’ 향한 경고… 공정 논란서 시작해 부동산으로 폭발 [싸늘해진 민심]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13 18:04

수정 2020.08.13 19:18

민주-통합 지지율 첫 역전
정의연 사태 등 악재 쌓이고
호우 피해 자연재해까지 겹쳐
민주당 "엄중하게 보고 있다"
통합당 "법안·정책으로 승부"
'巨與 독주’ 향한 경고… 공정 논란서 시작해 부동산으로 폭발 [싸늘해진 민심]


176석의 거대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탄핵 정국 이후 처음으로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에 추월당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정규직화 사태로 불거진 공정 논란 등으로 누적되던 여당에 대한 불만이, 최근 부동산 규제 강화 정책과 맞물린 다주택 보유 청와대 참모들의 거취까지 부각되면서 결국 지지율 하락으로 귀결됐다는 지적이다. 여당에선 이 같은 지지율 하락은 일시적인 상황이란 인식이 지배적이지만, 지지율 하락 추세 분위기가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가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레임덕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조기에 악재는 통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합당에서도 내부 조사에선 아직 민주당에 뒤지고 있다고 판단, 추격의 고삐를 바짝 당기고 있다.

쌓인 악재, 부동산으로 터져


13일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10~12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8월 2주차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33.4%, 통합당은 36.5%로 나타났다.
한달 전에는 민주당 지지율이 40%를 밑돌아도 통합당 지지율이 30%에 턱걸이하면서 격차가 꽤 컸지만, 이제는 거대 여당이 역전을 허용했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공정에 대한 논란으로 시달렸던 여당의 지지율이 추월을 허용한 요인으로 부동산 정책이 결정적이란 분석이 다수다.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인 진성준 의원은 이날 강원도 철원 수해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부·여당이 큰 실책을 범했다기보다 국민들의 피로감이 큰 상황에서 박원순 시장 문제와 부동산 폭등, 호우 피해까지 겹쳐 그런 게 반영된 것"이라며 "시간이 좀 지나면 호우 피해도 사라지고 부동산시장도 안정되면 그런 상황의 요인은 곧 제거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같이 일시적 요인이란 지적도 있지만, 당 안팎에선 불안감도 감지된다. 여당의 한 의원은 "당에서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봐야 한다"며 "지지율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지만, 거대여당의 책임감이 막중하다는 점에서 일련의 상황들을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도 "민주당이 그동안 민심이 이반될 요소들을 누적적으로 쌓아온 결과로 신뢰의 위기에 봉착한 것"이라며 "부동산 문제 정책만 해도 국민들에게 어떤 정책을 내놓아도 부동산은 안정되지 않을 것이란 불신이 깔리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통합당 잘해서 오른 게 아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통합당이 처음으로 민주당 지지율을 넘어섰다는 상징적 의미가 크지만, 통합당에서도 일단 의미부여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전북 남원 수해현장을 찾은 뒤 기자들과 만나 "조금씩 (지지율이) 오르는 것을 느끼지만 저희 조사에선 많이 뒤처진 것도 있어서 더 노력해야겠다 생각한다"며 "결산국회와 정기국회에서 국민에게 필요한 법안과 예산, 정책을 여당보다 더 정교하게 잘 만들어야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문가들은 이번 지지율 추월이 통합당이 잘해서라기보다 민주당의 부진이 주요 요인임을 지적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민주당 못한 게 9 정도 되고, 통합당이 어부지리, 이삭줍기식으로 민주당의 실책에 덤으로 지지율을 얻은 것"이라며 "정의연(정의기억연대), 박원순, 부동산 세 가지 악재로 2030 남녀를 흔들고 3040, 5060까지 다 흔들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까지 겹쳐, 임기말 현상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코로나19에 대한 성공 방어로 이룬 총선 승리가 레임덕을 미룬 것이지만, 문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지지율 하락세가 지속되면 향후 정책 집행에도 힘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주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