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노동硏, 빅데이터 이용률 2%P 올리면 고용창출 최대 4만5000명

[파이낸셜뉴스]
노동硏, 빅데이터 이용률 2%P 올리면 고용창출 최대 4만5000명


정부가 데이터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빅데이터 이용률을 2%P 올릴 경우 추가되는 순 고용창출 효과는 2만2000명~4만5000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18년 기준 정부의 빅데이터 이용비율은 2.5%로 정부는 2023년까지 이를 9.9%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 산업은 초기에는 노동대체보다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전망이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빅데이터가 인공지능과 융합되는 성숙기 단계로 들어서면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반에 걸쳐 고용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6일 한국노동연구원은 '데이터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빅데이터 이용비율을 2%P 올릴때마다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2만2000명~4만5000명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기준 2.5%인 빅데이터 이용률을 정부 계획대로 2023년까지 9.9% 수준으로 올리면 이 이간 총 7만9000개~15만9000개(산출기여도 10~20% 산정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2023년까지 당초 계획보다 2%P 더 높은 11.9% 빅데이터 이용률을 달성하면 이 수치는 10만2000개~20만3000개까지 높아진다.

현재 정부는 빅데이터센터 및 플랫폼 구축, 데이터바우처 지원, 마이데이터 시범사업 지원, 중소기업 활용지원, 플래그십 과제 추진 등 데이터경제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올 1월에는 개인정보 활용범위 확대와 기업 또는 기관 간 데이터결합을 허용하는 '데이터3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연구원은 산업별 빅데이터 도입이 확산될 경우 △기업들의 의사결정 개선 △고객서비스 개선 △비용절감 △혁신 △신제품 조기 출시 △수익창출 등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단기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산업은 타 산업과의 대체 개념이 아닌 신산업으로서 노동대체보다 신규 수요창출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빅데이터 이용률이 성숙단계로 들어서고 인공지능과 융합할 경우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제조업 공정관리, 의료, 법률, 금융, 교육, 상담 분야 등에서 고용 대체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지난해 기준 국데 데이터산업의 직접 매출 규모는 9조2094억원으로 광고매출 등 간전매출을 포함하면 16조8693억원 규모에 달한다. 2015년~2019년 데이터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직접 매출)은 12.8%, 빅데이터 성장률은 연평균 36%로 가파르다. 2019년 전산업 데이터직무 총종사자수는 13만833명으로 2015년~2019년 종사자수는 연평균 6.1% 증가했다.

노동연구원은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시장 확대 및 데이터 이용률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연구원은 "데이터바우처, 업종별 데이터플랫폼 구축, 유통시장 활성화 및 플래그십 등 지원사업에 대한 많은 자원 투입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며 "데이터 기업 해외진출 사업외에도 스타트업 기업들의 창업 및 성장지원을 위한 빅데이터랩 단지조성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3법 시행을 계기로 공공, 민간 데이터 정보를 연계하는 종합 데이터지도 포털 구축, 데이터 표준화와 데이터 저작권 기준에 대한 정부 주도 가이드라인 제정 필요성도 제기됐다.

데이터 인재 양성과 관려해서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별 파편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인력양성사업들의 체계화가 필요하며, 고용을 담당할 수요기업이 커리류럼 구성단계부터 참가해 기업에 필요한 실무맞춤형 교육이 진행되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이어 "언택트 수요 확산으로 데이터와 AI 간의 융합화가 빠르게 진행돼 다양한 AI 전문이력 수요가 집중될 것"이라며 "선제적으로 AI 교육기관 및 교육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