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공공 하수처리 체계 '스마트'로 전환

최수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27 10:41

수정 2020.08.27 10:41

데이터 기반 스마트 하수인프라 구축사업 본격화
회야하수처리장 지능화, 하수관망블록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기술 적용
 2026년까지 울산형 뉴딜사업으로 추진
울산시가 지역 하수처리 체계를 데이터 기반 운영방식으로 전환하는 '스마트 하수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그림은 회야하수처리장 지능화 시스템. /자료=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지역 하수처리 체계를 데이터 기반 운영방식으로 전환하는 '스마트 하수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그림은 회야하수처리장 지능화 시스템. /자료=울산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지역 공공 하수처리 체계를 데이터 기반의 운영 방식으로 전환하는 ‘스마트 하수인프라 구축사업’이 울산형 뉴딜사업으로 추진된다.

공공하수처리장 운영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의 지능형 기술을 적용하는 이번 사업은, 첨단 디지털 정보를 활용해 공공서비스를 혁신하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과도 연계된다.

27일 울산시에 따르면 주요 사업내용은 △스마트 하수인프라(회야하수처리장 지능화, 하수관망블록화) △하수처리장 확충(신설 1개소, 증설 5개소, 개량 1개소) △노후하수관로 정비 등이며, 오는 2026년까지 5135억 원(시비 3206억, 국비 1929억)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울산시는 하수분야 울산형 뉴딜사업 추진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4800명의 고용유발과 1조 1600억 원의 경제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스마트 하수인프라 구축이 완료되면, 하수처리 비용 절감과 안정적인 수질 관리로 시민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울산형 뉴딜사업이 시민 안전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되살리는 기폭제가 되도록 원활한 사업 추진에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울산시는 이번 하수분야 울산형 뉴딜사업 발표와 더불어 이날 방어진 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을 시작했다.

방어진 하수처리시설은 하루 시설용량이 10만 톤으로 지난 2005년 8월 준공되었다.
이후 이 시설을 활용하는 동구 전 지역과 염포·양정·송정·효문·호계 등 북구 일부지역의 도시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며 하수량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현재는 시설증설이 결정됐다.

방어진 하수처리장 증설
방어진 하수처리장 증설

해당 사업에는 총 584억 원(시비 547억, 국비 37억)이 투입되며, 기존 하루 10만 톤의 하수처리 용량을 14만 톤까지 향상시킬 계획이다.


주요 설치 시설은 처리용량 증가에 따른 1.2차 침전지와 생물반응조, UV소독조 등이며,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해 기존과 동일하고 질소 제거에 효율적인 ‘순환식 질산화탈질법(MLE공법)’을 채택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