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2030년 '35% 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9.02 11:00

수정 2020.09.02 11:00

산업부, 태양광 R&D 지원체계 개선 방안 마련
'탠덤 태양전지' 개발에 5년간 1900억원 투자
100MW급 태양광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 구축
광주시에 있는 한 태양광 발전시설 모습. /사진=뉴시스
광주시에 있는 한 태양광 발전시설 모습.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앞으로 5년간 1900억원을 투자해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민·관이 참여하는 태양광발전 공동 연구개발(R&D)센터도 구축한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성윤모 장관 주재로 그린뉴딜 정책 화상 간담회를 갖고 태양광 R&D 지원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탠덤 태양전지' 개발에 투자를 집중한다. 탠덤 태양전지 효율을 오는 2023년 26%, 2030년 35%로 달성한다는 목표다. 해외 경쟁기업과 2년의 기술격차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태양광 셀 효율은 최대 24% 수준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향후 5년간 1900억원을 투자한다.

태양광 관련 신시장·신서비스 창출에도 나선다.

정부는 태양광 입지 다변화를 위해 건물형(BIPV), 수상·해상 태양광 등 유휴공간 활용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 태양광 발전량 예측, 유지보수(O&M) 등을 위해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태양광 발전과 융합, 태양광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5년간 980억원을 투자한다.

대면적 웨이퍼의 저단가 국산 공정기술도 개발한다.

셀·모듈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품질관리 시스템을 개발, 수율·가동률을 높일 방침이다. 아울러 저전력 잉곳 생산기술을 개발해 수요가 증가하는 대면적 웨이퍼(M6 이상)의 국산화 공정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RE100 이행수단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키로 했다. 단,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등 기존에 반영중인 감축수단은 제외한다.

오승철 산업부 신재생에너지정책과장은 "RE100 이행과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국내 기업에게는 '재생에너지 구매'라는 온실가스 감축수단이 추가로 마련된 것이다. 세부 방법 등은 환경부와 협의해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민·관이 함께 태양광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화솔루션, LG전자,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주성엔지니어링, 대주전자재료 등 태양광 관련 기업들이 참여했다.

협약식에 참석한 성 장관은 "이번 MOU 체결로 민관이 합심해 차세대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세계 태양광 시장을 우리 기업이 선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태양광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는 기업들이 개발한 태양광 관련 제품의 공정·성능 등을 양산 전 단계에서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오는 2022년까지 총 사업비 253억원을 투입, 100MW급 파일럿 라인을 센터에 구축한다.

국내 태양광 셀·모듈 및 소재·부품·장비 제조기업들이 협력하고 함께 기술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태양광 R&D는 대학·연구소 중심으로 지원되며, 기술개발 인프라 등이 분산돼 있어 성과를 내기 어려운 구조다.
기업의 현장 수요를 반영하지 못해 사업화 성과도 낮다. 특히 국내 주요 셀·모듈 기업은 대기업 제한 조건 등으로 정부 R&D 참여율이 저조하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태양광 기술은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중국의 공격적인 R&D 투자와 미국·일본·유럽 등의 원천기술을 추격,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