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디파이 열풍 뛰어든 국내 거래소… ‘대박 vs.거품’ 논란

이설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9.13 16:57

수정 2020.09.13 18:05

두나무 ‘디파이 인덱스’ 출시
업비트 등 토큰 상장도 잇달아
디파이 예치금 1조 이상 감소
1주간 34개 토근 중 32개 하락
전문가 "투자→투기 변질" 경고
디파이 열풍 뛰어든 국내 거래소… ‘대박 vs.거품’ 논란
세계 블록체인 시장의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DeFi) 서비스 열풍에 국내 가장자산 거래소들도 속속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디파이 시장 열풍이 과도하다는 지적과 함께 거품 붕괴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디파이 열풍 동참이 어떤 결과물을 낳을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업비트, '디파이 인덱스' 출시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 디파이 관련 디지털 자산의 시장가치 변화를 한눈에 보여주는 '디파이 인덱스'를 출시했다. '디파이 인덱스'를 통해 블록체인 전체 시장에서 디파이 관련 프로젝트의 성장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UBCI '디파이 인덱스'에 편입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탈중앙화 거래 프로토콜 카이버네트워크(KNC), 코스모스 네트워크 기반 플랫폼 카바(KAVA), 트론의 스테이블코인 저스트(JST) 총 3개다.

업비트는 이에 앞서 컴파운드(COMP), 커브(CRV), 리저브라이트(RSR)의 디파이 토큰을 상장했다.
후오비코리아도 연파이낸스(YFI)와 디파이머니(YFII)를 상장했다.

프로비트 거래소도 최근 연파이낸스(YFI), 렌(REN), 토르체인(RUNE), 메타(MTA), 에이브(LEND), 밴드프로토콜(BAND), 루프링(LRC), 방코르(BNT)를 상장했다. 스시스왑(SUSHI), 연파이낸스(YFI) 등 8개의 디파이 토큰도 곧 상장 예정이다.

플라이빗도 커브(CRV), 세럼(SRM), 비지엑스프로토콜(BZRX), 샌드박스(SAND), 쿠사마(KSM)를 최근 신규 상장했다.

이에 앞서 연파이낸스(YFI), 폴카닷(DOT), 스시스왑(SUSHI)도 상장했다. 만트라다오(OM), 앰플포스(AMPL), 밴드프로토콜(BAND), 컴파운드(COMP), 에이브(LEND), 제로엑스(ZRX), 체인링크(LINK)도 이미 거래 중이다.

최근 디파이 예치금 급감


그러나 한편에선 디파이 투자에 대한 경고 시그널도 잇따르고 있다. 디파이 정보사이트 디파이펄스에 따르면 디파이 플랫폼에 예치된 자금 규모는 9월 13일 오후 1시 현재 82억1000만달러(약 9조7000억원)로 지난 2일 96억달러(약 11조4000억원)보다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디파이 거품론이 일면서 일부 자금이 빠져나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디파이 관련 사고도 일어나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디파이 프로토콜 스시스왑에 거버넌스 이중지불 결함(governance double-spend)이 존재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기존 토큰 보유자가 토큰을 양도 하더라도, 거버넌스 능력을 유지할 수 있어 토큰을 추가로 획득하지 않고도 특정인의 거버넌스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스시스왑의 새로운 책임자가 된 샘 뱅크먼 프라이드 FTX 최고경영자(CEO)도 결함을 인정했다. 다만 아직 거버넌스 구조가 활성화되지 않아 당장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고 전했다.

디파이 서비스 얌 파이낸스(Yam Finance)는 지난 달 출시 하루만에 5000억원이 넘는 예치금을 끌어 들였지만, 출시 이틀 째에 스마트컨트랙트 버그로 인해 프로젝트 실패를 선언하기도 했다.

디파이 토큰 하락세도


디파이 관련 토큰의 폭락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가상자산 시장 분석 회사인 메사리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한 주 동안 34개의 디파이 토큰 중 32개가 하락했다. 특히 6개의 토큰은 50% 이상 폭락했다.
커브(CRV)가 65%, 메타(MTA)가 59%, 렌(REN)이 52%, 에어스왑(AST)이 51% 하락했다.

안드레 크로녜 연파이낸스 창업자는 지난 달 열린 '스마트컨트랙트 서밋'에서 디파이 시장 성장 이유에 대해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면서 (디파이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방식의 디파이 붐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디파이 투자가 투기로 변질되고 있다고 주의를 촉구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