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코로나 위기 속 일자리 희망 찾기

안태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9.20 18:31

수정 2020.09.20 18:59

[차관칼럼] 코로나 위기 속 일자리 희망 찾기
올해 초 갑자기 등장한 신종 감염병 코로나19가 우리의 생활을 뒤바꿔버린 지 반년이 지났다. 매일 만원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일터에 가고, 아이들을 어린이집과 학교에 보내고, 퇴근 후에 헬스장에 가거나 지인들과 술 한잔 기울이고, 마스크 없이 가을바람을 만끽할 수 있는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 것이었던가를 문득문득 깨닫곤 한다.

이 중에서 우리 삶에 가장 크고 강력한 변화는 아무래도 '일자리'에 관한 것일 것이다.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거나 예전과 같은 소득을 벌지 못하게 됐다. 실제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전체 취업자수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7만명 감소했다. 고용이 안정된 상용직이 그나마 증가한 반면 임시직과 일용직은 각각 32만명과 8만명 감소했다.
취약계층일수록 고대면, 비필수, 비재택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어서 실업위기에 더 많이 노출돼 있고, 고용위기에 더 취약하다는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준다.

이 와중에 필자는 요즘 '희망'을 입에 달고 산다. 행정안전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코로나19 극복 희망일자리사업' 때문이다. 정부는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위축돼 발생한 고용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7월 3차 추경을 통해 공공부문 일자리 57만5000개를 만들기로 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총사업비 1조3000억원을 투입해 올해 말까지 30만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희망일자리사업'이다. 코로나19 피해계층이 워낙 광범위해서 이번에는 취업취약계층을 포함해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모든 주민으로 참여대상을 확대했다.

희망일자리는 일종의 구원투수다. 예상되는 정책수요에 따라 미리 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일자리사업과 별도로 고용위기가 발생해 민간부문에서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만들어낼 힘이 급속히 떨어졌을 때는 정부가 긴급투입돼 고용주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때 전국적으로, 그리고 2018년과 2019년 고용·산업 위기를 겪은 지역에 희망일자리사업이 실시됐다.

이와 같은 정부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때마다 늘 따라붙는 쓴소리가 있다. 취약계층의 생계지원이 목적이라면 나랏돈으로 단기 일자리를 만들 것이 아니라 직접 소득을 보전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비판이다. 일견 공감한다. 하지만 '일'을 해서 받는 보수의 소중함과 그에 따른 보람과 책임감을 중요시하는 이도 많다. 지금 희망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서 묵묵히 의미있는 일을 맡아서 하고 계신다. 매일 타는 지하철과 버스,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와 어린이집의 방역작업을 하고, 외국인 근로자가 떠나 일손이 부족한 농어가를 돕고 있다. 태풍과 집중호우 피해현장 복구도 지원한다. '인터넷 방역단'은 인터넷상 공개기간이 끝난 확진자 동선정보를 삭제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일들이 너무 단순하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정부는 경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서 민간이 제공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이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우리 사회를 유지하려면 다양한 형태의 일이 필요하고, 이들의 일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희망일자리사업은 위기상황에서 가장들이, 청년들이, 어르신들이 희망의 불씨를 유지하는 버팀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자리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모든 분들께 격려와 응원의 마음을 전한다.
모두가 일자리를 고민하지 않는 날이 빨리 오기를 바란다.

이재영 행정안전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