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한·일 기업인 입국완화, 文·스가 공조에 주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04 18:03

수정 2020.10.04 18:03

한·일 양국 간 경제협력에 청신호가 켜질 모양이다. 양국 정부가 양국 기업인에 대한 입국제한을 이달부터 완화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는 소식이 좋은 전조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걸었던 빗장을 푸는 합의안이 이르면 이번 주 초에 도출된다니 그렇다. 이번 합의가 궁극적으로 양국이 상생을 추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이번 협상에서 기업인만을 대상으로 그 수를 한정해 입국을 허용하되 점차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 중이라고 한다. 그렇게 해서 양국 간 인적 교류가 일부 회복된다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지난 3월 초 일본이 기습적으로 한국인 등의 입국을 막고, 우리 정부도 상응한 조치를 취한 결과가 뭔가. 4일 일본 리소나종합연구소는 올해 외국인 관광객 입국금지 여파로 약 45조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국내 여행·숙박업과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일본 관광객이 발을 끊으면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긴 매한가지다.

물론 이번 합의의 효과는 제한적인 것도 사실이다. 양국 관계 전반에 숨통을 틀 수준은 아니어서다. 그러나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란 우리 속담도 있다. 이번에 어렵사리 코로나로 막혔던 하늘길과 바닷길을 튼 만큼 새로 출범한 일본 스가 요시히데 내각과 문재인정부가 대화와 절충의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

다만 꼬일 대로 꼬인 한·일 관계를 쾌도난마처럼 풀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이를 기대하긴 어려운 게 엄연한 현실이다.
징용배상과 일본의 대한 수출규제 등 얽히고설킨 각종 현안들에 대한 양국 간 입장차가 워낙 커서다. 그렇다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국면에서 피차 인내심을 갖고 꼬인 실타래를 한 올씩 풀어가려는 실용적 접근이 필요하다.
양국이 과거사에 발목을 잡혀 공통의 미래가치를 놓치지 않으려면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자세로 사안별로 하나하나 절충해 나가는 게 선택 가능한 차선책이란 뜻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