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상공인 부담 덜자는 공공배달앱, 가맹점 부족에 소비자 외면 [이슈분석]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22 18:00

수정 2020.10.22 20:09

서울 제로배달 등 지자체 출시 붐
수수료 낮춰 점주들에 인기지만
소비자 접근성 떨어져 내리막길
전통시장 등 특화된 전략 찾아야
서울시 ‘제로배달유니온’
서울시 ‘제로배달유니온’
배달앱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공공배달앱은 선보이고 있다. 과도한 광고료와 높은 배달중개수수료 등의 문제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공공배달앱은 시장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맹점이 부족해 이용자의 선택권이 제한되는 상황이 반복되다 보니 이용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공공배달앱 제작을 포기한 사례도 나타난다.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틈새시장을 공약할 수 있을 지 여부에 공공배달앱 생존이 달렸다는 지적이다.


전북 군산시 ‘배달의 명수’
전북 군산시 ‘배달의 명수’
인천시 서구 ‘배달서구’
인천시 서구 ‘배달서구’

■ 다양성 부족 이용자외면

21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지자체 약 5곳이 배달앱 서비스를 시작했고, 10여곳이 연내 배달앱 서비스 오픈 목표로 시범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군산시 '배달의명수'를 필두로, 서울시 '제로배달유니온', 인천시 서구 '배달서구', 충북 '충북먹깨비', 전남 강진군 '강진배달'이 현재 운영 중인 공공배달앱이다. 경기도 '배달특급'(10월 개시)과 부산(11월 출시) 세종시(12월 개시) 등은 연내 공공배달앱 출시를 예고한 상황이다.

지자체 공공배달앱은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광고료·중개 수수료가 0∼2%로 기존 배달앱(6∼12%)보다 적어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때문에 수수료와 광고료 등으로 부담이 컸던 소상공인들은 공공배달앱의 시작을 반기는 분위기다.

문제는 이용자 편의성에서 표출되고 있다. 이미 10년 가까이 운영된 민간배달앱과 비교하면 가맹점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이용자들은 공공배달앱에서 구매를 하고 싶어도 선택권이 제한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민간배달앱을 찾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지자체 중 가장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전북 군산 '배달의 명수'의 경우 사업 초기 두 달 주문 건수가 8배 가까이 증가하며 호조를 보였지만 이후 이용자 수와 주문 수가 감소하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출시 한 달이 된 서울시의 제로배달도 서울사랑상품권 등을 이용한 공격적 마케팅에도 성적표는 좋지 못한 상황이다. 경남도는 부족한 경쟁력 등을 이유로 애초 계획했던 공공배달앱 사업계획을 전면 보류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남 강진군 ‘강진배달’
전남 강진군 ‘강진배달’

■ 틈새시장 공략 등 돌파구 모색

낮은 수수료로 사업자인 소상공인에는 도움이 되지만 이용자 편의성은 떨어지다 보니 공공배달앱이 시장에서 좀처럼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이경미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공공배달앱 이용이) 소비자에게 어떤 메리트가 있는지가 관건인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이 별반 없다면 착한소비를 기대하기엔 다소 무리일 수도 있다"며 "공공배달앱이 작동하기 위한 인프라 및 비용 조달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현실적으로 민간 배달앱과의 경쟁이 쉽지 않다는 점과 세금 낭비라는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공공배달앱이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방법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예컨대 대형 민간배달앱으로 소외당하고 있는 소규모 상점이나 전통시장 등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도록 관련 배달 서비스에 공공이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제로페이 유니온으로 민간배달앱을 대체한다는 것보다는 다양한 지역이나 전통시장과 같은 커뮤니티에 특화된 소규모 배달업체 지원을 생각하고 있다"며 "동시에 소비자 혜택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시도할 생각이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