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미생에서 완생으로 이끄는 혁신조달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1.26 18:00

수정 2020.11.26 18:00

[특별기고] 미생에서 완생으로 이끄는 혁신조달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창출을 유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언택트 사회는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 기존과 다른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공공조달도 '혁신'을 매개체로 현 정부의 국정철학인 '혁신성장'을 실현하고, 조달 수요자와 공급자의 성장 연결고리를 찾고 있다. 공공구매력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혁신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급변하는 경제를 선도할 기술혁신을 견인하는 '공공혁신조달'에 주목하고 있다.

공공조달이 과거 소극적 계약 위주의 행정에 머물렀다면, 이제는 혁신과 융·복합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접목시키는 '정책 중심'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공공구매력과 혁신조달을 내세운 조달행정의 방향은 이젠 '필요'가 아닌 '필수'다. 기술을 모방하는 '추격형 경제'에서 혁신적 기술을 개척하는 '선도형 경제'로의 경제 전략의 근본적 전환이 시급한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할 때, 혁신조달의 전략적 가치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앞으로 공공혁신조달 실현을 위해 연간 135조원, 국내총생산의 7%에 이르는 막대한 규모의 공공구매력의 활용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조달청도 검증된 제품을 구매하던 '소극적 계약자'에서 연구개발(R&D)정책, 경제정책, 산업정책과 연결된 정책지원 기능과 행정서비스의 개혁을 주도하는 '적극적 조달자'로 조달행정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이를 위해 혁신제품 지정부터 구매, 상용화지원, 혁신제품 통합 포털 혁신장터 구축 등 공공조달 전 과정에 걸쳐 혁신조달을 위한 종합 지원체계를 완성했다. 정부가 첫 번째 구매자가 돼 신속구매절차를 통해 혁신제품의 초기 판로를 빠르게 지원하는 혁신제품 구매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을 통해 실험실에 머물던 160여개 제품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완성형 제품으로 진화했다.

무엇보다 정부 핵심 정책인 '한국판 뉴딜'과 혁신조달을 긴밀하게 연계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높여 나갈 것이다.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등 한국판 뉴딜의 추진과정에서 창의적이고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혁신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혁신조달이 이러한 혁신제품 수요를 예측해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등 한국판 뉴딜의 주요 분야에서 기술과 품질이 검증된 혁신제품을 미리 발굴해 공급기반을 갖춘다면 혁신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한국판 뉴딜의 원활한 추진에도 촉매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미생(未生) 단계의 창업·벤처기업 등 혁신수요가 공공조달이라는 울타리와 혁신조달을 통해 혁신성장으로의 완생(完生)단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달행정은 끊임없이 변화, 발전할 것임을 확신한다.

김정우 조달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