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새로운 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금융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31 18:00

수정 2021.01.31 18:01

[차관칼럼] 새로운 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금융
2021년 금융위원회가 당면한 최우선 과제는 물론 '코로나19 극복과 연착륙 지원'이다. 하지만 소홀히 다룰 수 없는 또 다른 과제가 있다.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다. 성적표가 곧장 나오진 않으나, 우리 경제의 먹거리와 일자리를 준비하는 과제이므로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코로나19는 우리 삶을 완전히 재구성(reshape)하고 있다. 지난 1년을 되짚어 보면, 코로나19는 보건위기와 경제충격에 그치지 않았다.


비대면 흐름은 모든 분야에 빠르게 확산 중이다. 온라인 소비는 늘고 원격근무가 보편화되며, 중장년층도 비대면에 익숙해지고 있다.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다. 디지털화, 인공지능(AI) 경제로의 이행도 코로나19를 계기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제 디지털·데이터는 분석수단에 그치지 않고, 신사업 창출과 기업 성패를 좌우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반면 세계화, 글로벌 분업체계 등 그동안 당연시됐던 규범들은 도전에 직면했다. 위기 과정에서 취해진 각국의 봉쇄조치는 탈세계화, 글로벌공급망 다변화, 리쇼어링을 초래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어쩌면 코로나19보다 더 큰 글로벌 불확실성 요인인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변화 위험을 분석하고, 경제·산업체질 개선에 국제적 경쟁이 불붙었다.

금융의 구조와 역할 변화도 불가피하다. 우선 빅테크 등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소비자가 금융상품을 고르는 접점이 온라인·플랫폼 등으로 빠르게 이동 중이다. 디지털·데이터 기반 혁신적인 자산관리서비스나 신용평가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그린 투자, 사업 전환, 공급망 재편 등에 필요한 투자자금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2021년 금융권에 새 도전이 시작될 것이다. 금융정책도 새 미래를 대비하는 데 소홀해서는 안 된다.

첫째, 금융산업이 비대면·디지털·데이터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각종 인프라 구축에 주력할 것이다. 언택트·플랫폼 관련 금융규제 개선도 병행될 것이다. 금융권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분석·활용할 수 있는 틀도 마련하겠다.

둘째, 한국판 뉴딜 및 혁신 분야 자금지원의 보폭을 넓혀 가겠다. 올해 최대 4조원 규모의 뉴딜펀드를 조성·운용하고, 정책금융기관은 17조5000억원의 뉴딜 분야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기업 지원도 강화할 것이다. 현재까지 279개사에 약 1조1000억원을 지원했다. 올해 4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을 추가 발굴할 계획이다.

셋째,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새 국제적 금융질서 형성 흐름도 주도하겠다. 정책금융의 녹색분야 지원 비중을 높여 기업들의 저탄소 설비투자와 사업재편을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 국제흐름에 맞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의무도 강화하고, 금융권 내 녹색투자 가이드라인 제정을 통해 민간 자금흐름 활성화도 뒷받침하겠다.

최근 새 유형의 코로나19 백신이 신속히 개발·보급된 것은 모더나 등 바이오벤처기업의 혁신이 그 원천이다. 여기에 미국·독일 정부의 대규모 자금지원 및 유연한 규제 적용도 힘을 보탰다.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글로벌 경제구조는 지금 '새로운 정상화(new normal)'를 향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변화에 대응할 타이밍을 놓친다면 경쟁력의 간극이 커질 수밖에 없다.
민간의 혁신과 정부의 협업이 중요하다. 정부는 구조적 흐름을 주시하면서 '혁신지원은 과감'하게, '규제 적용은 유연'하게, '변화 대응은 발 빠르게' 해나갈 것이다.


위기 극복과 새로운 도약을 이끄는 금융으로 재구성(reshape finance). 2021년도 금융정책의 핵심 목표다.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fnSurvey